국어학가망없나 [1225447]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6-01 00:14:57
조회수 3,096

의존형태소가 뭐길래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가 아닐까?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63167721

형태소란 의미를 가지는 가장 작은 단위 즉 형태론적 최소 단위를 말하며 이때 '의미'는 어휘적인 의미와 문법적인 의미 모두 포함된다. 그렇기 때문에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나뉘는 것이다. 그러나 자립성의 유무로 형태소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자립해서 쓰일 수 있으면 자립형태소, 그렇지 않으면 의존형태소라고 한다. 자립하지 않는다는 것은 곧 다른 형태소에 기대어야만 쓰일 수 있다는 뜻이며 조사와 어간, 어미, 접사가 이 범주에 속한다.


의존명사는 '의존'이라는 이름 때문에 의존형태소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의존형태소가 아니라 자립형태소이다. 깊게 들어가지 않고 쉽게 설명하자면 '의존명사'는 결국 '명사'의 하위범주이기 때문에 자립형태소로 분류되는 명사에 속하는 의존명사 역시 자립형태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깊게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들여다 보면 형태론적 자립성와 통사론적 자립성의 차이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일단 의존명사를 정의해 보자. 명사는 명사인데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통사론적으로' 관형어의 수식을 필요로 하는 명사이다. 통사론은 쉽게 말해 문장의 구조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분야고,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는데 '형태소'는 엄연히 형태론의 영역이므로 통사론적 자립성을 논할 때는 형태론적 자립성을 논하면 안 된다. 



형태론적 자립성 즉 형태소로서의 자립성이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쓰일 수 있는 자질을 뜻하는데 조사는 항상 명사 혹은 명사 구실을 하는 말에 결합하여 쓰이고 접사는 어근(어기)에 결합하여 쓰이므로 형태론적 자립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어간이나 어미도 마찬가지다. '가-'라는 형태소만으로 자립하여 하나의 단어가 되지 않고, '-라'라는 어미만으로 홀로 성립하지 않는다. '가라', '가고', '간다'처럼 결합을 해야만이 성립한다. 


그러나 의존명사는 어떤가? 무언가에 '붙어서' 쓰여야 하나? 그렇지 않다. '(낯선) 자', '(다 푼) 지', '(먹는) 분', '(빨리 하는) 것' 따위에서 보이는 의존명사들은 특정 형태소에 결합하여 쓰이지 않는다. 그 자체로 성립하며 어근이나 체언에 붙지 않고도 쓰일 수 있다. 단독으로 어절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형태론적 자립성'이 의미하는 바이다. 어절을 이룬다는 것은 선행하는 말과 후행하는 말에 모두 띄어져 있다는 것이므로 조사가 체언에 붙는 것마냥 의존명사가 관형어에 붙지는 않으니 홀로 어절을 이룰 자격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의존명사'가 의존형태소라면 관형사는 어째서 의존형태소가 아닌가? '새 옷'이나 '헌 집', '순 한국식' 따위에서 보이는 성상관형사 '새', '헌', '순' 역시 의존명사와 마찬가지로 후행하는 체언이 없다면 불완전하다. 그러나 이는 단어 내부의 제약이 아니라 문장 형성 과정의 문제이므로 형태소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관형사나 의존명사 모두 통사론적으로 자립적이지 않지만 형태론적으로는 자립적이므로 자립 형태소로 보아야 한다.


또 다른 이유는 일반적인 명사가 나타나는 환경과 똑같이 나타난다는 것인데(분포상의 유사성) 이는 국국원의 답변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의존명사는 의존형태소가 아니라 자립형태소이다. 

rare-디지몬 어드벤처 rare-제주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