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1문단 광고는 시장의 형태 중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그 효과가 크다. t: '독점적 경쟁 시장'은 뭐고 왜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 광고의 효과가 클까? 독점적 경쟁 시장은, 유사하지만 차별적인 상품을 다수의 판매자가 경쟁하며 판매하는 시장이다. t: 독점적 경쟁 시장을 정의했다. 독점적 경쟁 시장의 전제는 유사하지만 차별적인 상품을 팔아야하고, 다수가 경쟁해야한다. '유사하지만 차별적인'이 무슨 뜻일까? 각 판매자는 자신이 공급하는 상품을 구매자가 차별적으로 인지하고 선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고를 이용한다. t: 광고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차별적으로 느끼게 한다. 구매자가 상품을 차별적으로 느끼면 판매자에게 뭐가 이득일까? 판매자에게 그러한 차별적 인지와 선호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통해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원하는 구매자에 대해 누리는 독점적 지위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t: '원하는'은 이전 문장의 '선호하는'을 받았다. 이전 문장에서 생긴 의문을 바로 해결해 주었다. 차별적 인지는 독점적 지위를 강화한다. 구매자가 상품을 원하지 않으면 독점적 지위를 강화할 수 없다. 1문단을 읽고난 후 생각: 광고는 차별적 인지를 유발하고, 차별적 인지는 독점적 지위를 강화한다. 독점적 지위가 뭘까? 2문단 일반적으로 독점적 지위를 누린다는 것은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의미이다. t: 1문단을 읽고 생긴 의문을 해소 해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구매자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 t: 보통 수요-공급 곡선에서는 '가격'이 독립 변수이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데 왜 수요를 고려해야 할까? 대체로 구매자는 상품의 물량이 많을 때보다 적을 때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자 하기 때문에, 판매자는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t: 구매자의 수요를 고려해서 공급량을 감소 시키면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기 때문이었구나. 독점적 경쟁 시장의 판매자도 이러한 지위 덕분에 상품에 차별성이 없는 경우를 가정할 때보다 다소 비싼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는 경향이 있다. t: 결론은 독점적 지위가 있으면 비싸게 팔 수 있다는 소리군. 그러나 그 결과 독점적 경쟁 시장의 판매자가 단기적으로 이윤을 보더라도, 그 이윤이 지속되리라 기대할 수 없다. t: 왜 독점적 지위가 지속되지 못할까? 이윤을 보는 판매자가 있으면 그러한 이윤에 이끌려 약간 다른 상품을 공급하는 신규 판매자의 수가 장기적으로 증가하고, 그 결과 기존 판매자가 공급하던 상품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여 이윤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t: 차별적 인지는 독점적 지위를 강화하지만, 시장에 다양한 차별적인 상품이 신규 판매자들에 의해 많이 공급되면 결국 공급량이 늘어난다. 대체재가 많아 지니 자연스럽게 기존 판매자의 수요는 감소한다. 2문단을 읽고난 후 생각: 독점적 지위를 설명하고 독점적 지위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들을 설명했구나. 3문단 판매자가 광고를 통해 상품의 차별성을 알리는 대표적인 방법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t: 다시 광고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비용을 들인 것으로 보이는 광고만으로도 상품의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다. t: 어떻게 부각하는데? 판매자가 경쟁력에 자신 없는 상품에 많은 광고 비용을 지출하지 않을 것이라는 구매자의 추측을 유도하는 것이 이 광고 방법이 목적이다. t: ㅇㅎ 구매자들의 심리를 이용하는구나. 가격이 변화할 때 구매자의 상품 수요량이 변하는 정도를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라 하는데, 구매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상품이 차별화되었다고 느낄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감소한다. t:가격탄력성을 정의했다. '변화'와 '변화의 정도'니까 가격이 오르든 내리든, 수요량이 증가하든 감소하든 편차가 중요하다. 윗글과 연결지어서 독점적 지위와 차별화는 양의 관계, 가격 탄력성은 나머지와 음의 관계다. 이처럼구매자가 특정 상품에 갖는 충성도가 높아지면, 판매자의 독점적 지위는 강화된다. t: 독점적지위⬆= 차별화⬆=충성도⬆=가격탄력성⬇ 판매자는 이렇게 광고가 경쟁을 제한하는 효과를 노린다. t: 광고를 하면 독점적지위, 차별화, 충성도가 올라가고 가격탄력성이 낮아진다-> 그 결과 경쟁을 제한할 것이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 진입하는 신규 판매자도 상품의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독점적 지위를 황보하고자 광고를 빈번하게 이용한다. t: 당연히 그러겠지. 내 물건 많이 팔아야하는데 3문단을 읽고난 후 생각: 3문단을 한줄 요약하자면, 광고->' 독점적지위⬆= 차별화⬆=충성도⬆=가격탄력성⬇ -> 경쟁제한' 이다. 3문단을 독해후 저 도식이 내 표상으로 남아야 한다. (나) 1문단 광고는 광고주인 판매자의 이윤 추구 수단으로 기획되지만, 그러한 광고가 광고주의 의도와 상관없이 시장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t: '이윤 추구 수단'은 (가) 지문의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가-나 지문으로 묶여서 출제했겠지. 즉, (나) 지문의 주제는 광고주의 의도가 아닌 광고의 효과일 것이다. 우선 광고가 독점적 경쟁 시장의 판매자 간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 t: '우선'으로 받았으니 이 내용 말고 또 있다. 일단 어떻게 경쟁을 촉진할까? 이러한 효과는 광고를 통해 상품 정보에 노출된 구매자가 상품의 품질이나 가격에 예민해질 때 발생한다. t: 가격 변화에 예민하다는 뜻은 (가) 지문을 생각해 봤을 때 가격탄력성이 높다는 뜻이다. 그래서 어떻게 광고가 경쟁을 촉진하는데? 특히 구매자가 가격에 민감하게 수요량을 바꾼다면, 판매자는 경쟁 상품의 가격을 더욱 고려하게 되어 가격 경쟁에 돌입하게 된다. t: 상식적으로 가격이 높으면 수요량이 낮고, 낮으면 높을 것이다. 전 문장에 '광고를 통해'라고 서술했으니 광고가 가격탄력성을 높여서 경쟁을 촉진하는구나. (가) 지문이랑 상충된다. (가) 지문은 광고로 인해 가격탄력성이 낮아지는 경우고, (나) 지문은 광고로 인해 가격탄력성이 높아지는 경우구나. 그래서 둘이 가-나 세트로 묶여서 출제됐군. 또한 경쟁은 신규 판매자가 광고를 통해 신상품을 쉽게 홍보하고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촉진된다. t: 뉴비가 쉽게 홍보하고 쉽게 들어올 수 있으면 경쟁이 촉진된다. 당연한 말이다. 더 많은 판매자가 시장에서 경쟁하게 되면 각 판매자의 독점적 지위는 약화되고, 구매자는 더 다양한 상품을 높지 않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된다. t: 전전 문장에서 했던 생각과 같다. (가) 지문과 반대의 경우다. (가) 지문의 경우 광고를 해서 상품을 차별적으로 느끼면서 독점적지위가 올라간 경우고, (나) 지문의 경우는 광고를 해서 가격탄력성이 올라가 경쟁을 촉진하고 독점적지위가 약화되는 경우다. 즉 (가)는 광고가 판매자에게 이득인 경우, (나)는 광고가 구매자에게 이득인 경우다. 이게 (나)지문에서 첫 문장에서 '판매자에 의도와 상관없이'라고 서술한 이유이다. (나) 1문단을 읽고 든 생각: 평가원은 사실 수능 독서영역을 매개로 현대예술을 하는게 아닐까? 소름돋을 정도로 글을 잘 쓴다. 캬. 가-나 지문으로 출제한 이유가 있었구나. 2문단 광고가 특정한 상품에 대한 독점적 경쟁 시장을 넘어서경제와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t: 아까 앞에서 '우선'으로 받았으니 지금부터 나오는 내용이 또 다른 광고의 비의도적인 효과이다. 개별 광고가 구매자의 내면에 잠재된 필요나 욕구를 환기하여 대상 상품에 대한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합쳐지면 경제 전반에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t: 광고가 수요를 촉진해서 선순환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어떤 선순환 일까? 경제에 광고가 없는 상황을 가정할 때와 비교하면 광고는 쓰던 상품을 새 상품으로 대체하고 싶은 소비자의 욕구를 강화하고, 신상품이 인기를 누리는 유행 주기를 단축하여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 수요가 증가한다는 소리다. 촉진된 소비는 생산 활동을 자극한다. t: 어떻게? 상품의 생산에는 근로자의 노동, 기계 설비 같은 생산 요소가 들어가므로, 생산 활동이 증가하면 결과적으로 고용이나 투자가 증가한다. t: 광고가 소비를, 소비가 고용이나 투자를 증가 시키네. 순환의 고리가 계속 이어지는구만. 고용 및 투자의 증가는 근로자이거나 투자자인 구매자의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t: 광고가 소비를, 소비가 고용및 투자를, 고용및 투자가 소득을 증가시킨다. 경제 전반의 소득이 증가할 때 소비가 증가하는 정도를 한계 소비 성향이라고 하는데, 한계 소비 성향은 양의 값이어서, 경제 전반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 소비가 증가하게된다. t: '한계 소비 성향'을 정의했다.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한다는 소리다. 선순환의 내용이 나왔다. 광고-소비-고용,투자-소득-소비 순으로 선순환이 일어난다. 2문단을 읽고 든 생각: 독해 후 선순환의 도식이 표상으로 남아있어야 한다. 3문단 하지만 광고의 소비 촉진 효과는 환경 오염을 우려하는 사람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t: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소비뿐만 아니라 소비로 촉진된 생산 활동에서도 환경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t: 소비와 생산활동 둘 다 환경오염을 초래해서 구나. 환경 오염을 적절한 수준으로 줄이기에 충분한 비용을 판매자나 구매자가 지불할 가능성은 낮으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환경 오염은 심할 수밖에 없다. t: 그렇군. 3문단을 읽고 든 생각: 상식적인 이야기다. 내 생각엔 (나) 2문단까지 글을 썼다가 선지 끼워 넣을려고 3문단을 추가한게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