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의 해법 해설 + 평행이동할때 왜 점은 +a인데 그래프는 -a일까?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10789384
안녕하세요. 일반청의미입니다.
이 칼럼은 이 글에 담긴 생각을 바탕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공부의 양은 어떻게 정할까? : http://orbi.kr/0008692499
공부의 양은 생각의 양과 같고, 생각과 고민은 질문에서 나옵니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질문과 답변 칼럼을 올려볼거에요
공신 방송 다녀온 후기 & 수학 칼럼 연재합니다. http://orbi.kr/00010768917
보신분 많이 없으실텐데..ㅋㅋ
오늘은 칼럼 요청이 들어와서 쓰게 되었습니다.
일단 저번주의 답을 첨부합니다.
매우 간단하죠..? ㅋㅋ
이제 오늘의 칼럼 띄워봅니다!
점 (a,b)를 x축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a+m,b)가 되는데
왜 함수 y=f(x)를 x축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y=f(x-m)이 될까?
분명 점을 x축으로 평행이동 하면 x값이 늘어나는거 맞겠죠?
하지만 그래프의 x값은 왜 빼지는걸까요?
그래프의 모든 점의 x값이 늘어난것이 맞는데 말이죠.
많은 의견을 덧글로 달아주세요! 제가 생각하는 답은 다음 칼럼에 달겠습니다.
힌트를 드리자면.. 저 그림을 잘 보셔요! x값은 변할겁니다 x축 평행이동이니까요.
물론.. 제 답이 정답은 아니겠지만.. 꽤 설득력 있을거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 지문분석 칼럼들 써보려 하는데 지문 추천 받습니다. 리트 미트 디트 평가원...
-
최저만 어떻게 맞추면 다 대학은 가던데 물론 다 재수함
-
짠돌이가 되네 ㅋㅋㅋ 자린고비… 돈 없을 때 오히려 더 쓴 듯 ㅋㅋ
-
수학재능이 젤 부럽네
-
ㅁㅌㅊ
-
의외로국어높1이 4
병신임 수학망하면아무의미없음
-
서성한라인까지는 나머지 망해도 수학 높1면 서성한은 감
-
방인혁T 강의만 들어도 만점 가능하려나 그냥 독학했었는데 도저히 만점이 안 나와서...
-
다 클럽벤당하고 수진이 같은 애들만 여왕벌하려 가는거아니냐 이쁜애 보신분
-
상담예약잡힌날
-
혼자가 아니었어
-
제일 허벌
-
시냅스보단 쉬울거고 수분감 스텝1보다 어려움..? 시발점 회독 끝나면 수분감...
-
아주대 신소재 예비 10~13번대인 사람입니다. 정시로 23명 뽑는곳인데, 가능성이...
-
화학도 많이 필요한 학과인가요?
-
ㅃㅇ
-
내가 미안해
-
수험생이면 4
오르비 그만하고 책피자
-
너에게 주고 싶었는데 최후야 창가의 꽃병에는 너를 꽂아둘 테니까 제발 알아줘 차라리...
-
순풍순풍 0
순풍산부인과
-
근데게을러서무리인데
-
아침 저녁공부는 그냥 쌩으로 해도 잘되는데 꼭 점심먹고 하는 오후공부는...
-
ㅈㄴ 예쁘다
-
난서울대를갈텐데
-
그래서 앉앗음
-
엉엉
-
반수고 재수고 5수고 다 사문 하나씩은 끼는 걸보니.. 1년만 일찍 태어날걸
-
근데 궁금한 게 1
시대기숙 특별서류로 전액장학 받아서 다니면 월 얼마정도 드나요? (전액이면 또 뭘로...
-
바로 너❤️
-
저녁은 0
케엪시 치밥
-
전액장학으로 평단가 낮추면 손해좀 덜어낼 수 있는건가
-
학교 다니기 시작하면 시간이 없을 것 같아서 생활비= 용돈 과외+ 컨텐츠 팀 200...
-
암 빠킹 스튜피드
-
15시간 이상 순공 측정하시는 분이 엄청 많으신데 내가 나태한건가
-
심심하네 7
a_n/a_(n+1)=(pn+p)!/(pn)! × 1/(n+1)^4이므로, 0이...
-
강대 대기 0
지금 열린 N수반 신청하고 미루다가 늦게 들어갈 수 있나요? 아니면 반수 반 신청하는게 낫나요?
-
3월 모의고사가 한달 정도 남은 가운데 한국사 노베들이 보이더군요. 그래서 준비한...
-
나도 이대 갈 수 있냐? 캬캬캭
-
국어 관련 글 보다 보면 ㄱㅇㅇ 스키마 뭐 어쩌고 하는데 이 강사는 대체 누군가요? 김승린가??
-
어디서??? 2
해설지를 봐도 이해가 안 되네요 해설지는 진짜 너무 간략하게 적혀잇어시 제가 어디서...
-
너무 피곤하다 2시까지 일 어케 하지..
-
젊음이 부럽구나...
-
얼마나 부자여야되는거지
-
전장이 되어도(특별 서류?) 비싼 교재비와 재수로 인한 부가비용을 감당하기엔 집안...
-
2026학년도 경북대는 계획안에 통합변표 사용이라고 되어있던데요 부산대는 통합변표란...
-
수학-3시간 함 국어-하기싫음 이미 주간지 풀엇음 영어-하기싫음 지구-하기싫음...
-
물개물개 =물개^2
원래 x값에 m을 더한 값을 대입해서 원함수의 값이 나오는 식이 되어야 하니까 그런가요??
맞습니다!
축의 이동
축의 이동은 어떤 개념인가요?
설명해주시겠어요??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도형은 가만히 있고 도형을 설명해주는 두 기저의 기준점 (축) 을 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는거죠.
사실 이해할 수 있는 얘기긴 한데..
교육과정에서는 축을 이동하는 법을 안배우긴 해요.
그래도 이해하기 좋은 설명이 될 것 같아요!
사실 교육과정 해설서에도 명시되어 있어요.
'도형의 평행이동에 대해 설명할 때에는 축의 이동을 통해 설명하지 않는다.'라고
다만 굉장히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고 축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만 해보면 바로 이해가 되는지라 ㅎㅎ
(x,y) = (a,b)(원래 함수 위의 점)
(X,Y) = (a+m,b)(x축으로 +m만큼 이동한 함수 위의 점)
(a,b) = (X-m,Y) = (x,y)
따라서 x축으로 +m만큼 이동한 임의의 x,y에 대해
(x,y) = (X-m,Y)를 넣어서 식을 정리하니까
결국 +로 이동했으나 부호는 -로 붙어 나오게 되는것
아마 첨에 배울때 이랫던거같은데 맞는지는 잘몰겟네요;
네 맞아요. 그게 교과서의 설명 방식입니다.
그 수식의 의미를 쉽게 설명하면 어떻게 될까요?
![](http://s3.orbi.kr/data/emoticons/oribi/009.png)
고1때는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던 기억이...(쭈글음... 명쾌하게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저도 이 주제에 대해 많은고민했었는데, 제가 얻은 결론은 이렇습니다.
예를들어 정의역이 0이상 1이하인 함수가 있다고 칩시다. 이 함수를 x축방향으로 1만큼 이동시킨다는 것은 정의역을 1이상 2이하로 변화시킨다는것이에요. 하지만 치역, 즉 y값은 변하지 않아야 하죠. 이런 점을 고려하면 함수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킬때는 정의역범위를 변화시키면서, y값은 유지시켜줘야해요. 그래서 정의역을 이동시키려는 값만큼 증가시키고, 그래프식 안에있는 x는 이동시키려는 값만큼 빼주는겁니다.
그런데 보통 함수에 대해 논의할때는 실수전체가 정의역의 범위가 되죠. 그래서 증가된 정의역범위가 드러나지 않고, 그래프에서 x가 x-m으로 변하는것만 보이게됩니다.
맞습니다..만 굳이 정의역을 제한하지 않아도 될것같아요
y값이 변하지 않는다는 말만 해주셔도 될듯합니다!
으어... 많은 분들이 생각을 올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모든 덧글이 다 옳은 설명이라.. 제가 뭐라 하기 어렵네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답은 한줄입니다! 꽤 설득력 있다고 저는 생각해요
저 식과 그림에서 간단한 특징 하나를 뽑을 수 있어요.
뭐랄까 마치 숨은그림찾기 하는 것과 같다고 봅니다.
굳이 이 개념뿐만 아니에요. 여러분은 개념을 깊이 생각하고 있나요?
이렇게 고민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는 생각과 고민이 공부의 양이라 생각합니다. 생각과 고민은 이렇게 질문에서 생기게됩니다.
저렇게 개념에 대해 접근해보다 보면 정말 공부 많이 될것같아요... 수학적 직관력이 빵빵 터질것같은!
평행이동한 함수를 새로운 함수라고 생각하면 이 새로운 함수의 x에다가 뭘 집어넣어야 평행이동 이전에 함수값과 같아질까? 라고 생각해보면 기존 함수를 x 축으로 +m 평행이동한 함수가 새로운 함수이니 이 함수에는 x 에서 +m 만큼 빼주면 이전의 함수와 같은 값을 같겠구나 ! 라고 생각해서 새로운 함수 = f(x-m)
요로케 설명해보고싶네요
맞습니다! 다들 너무 맞는 말씀이어요.
다만 어려운 설명일 수 있어요.
사실 그렇다고 해도 어쨌든 자기가 이해할 수 있는 좋은방식으로 이해하면 장땡이죠.
결국 개념에 대한 고민이란건 최대한 쉬운언어로 받아들이는것.
그걸 사용하기 쉽도록 보이는것을 말합니다.
저도 이거 잘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ㅎㅎ
덧글 달아주신 모든 의견이 맞는 얘기해주셔서.. 쓸게없네요ㅋㅋ
이번주 토요일 저녁에 칼럼 올리겠습니다.
참 간단한 의문인데, 헷갈릴법한 질문이기도 해요
전 칼럼의 질문은 이차방정식의 해법의 공통점입니다.
저는 10-가의 내용을 배웠습니다. 지금 수1 전 교육과정이죠
10-가에서는 일차방정식 다음에 이차방정식 단원이 있었습니다.
그것으로 유추해보면 이차방정식의 풀이의 핵심을 끌어낼 수 있었죠.
교과서만으로 의문을 갖고 해결하는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그 과정까지 아울러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과 고민이 공부의 양입니다.
교과서만으로도 충분히 공부할 것이 있어요.
그것을 여러 질문으로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