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윗밀크 [396422] · MS 2011 · 쪽지

2012-01-19 22:27:24
조회수 1,798

기본적인 영어문법 질문이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2633465


1.복합 관계대명사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정확한 차이가 뭔가요?

2.주어-동사-목적어가 완전한 문장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럼 주어-동사-보어는 불완전한 문장인건가요?

3.This means that the city has an abundance of cultural activities.
   My weak point is that I'm quick to take offense.
   여기서 윗문장의 that절은 목적어, 아랫문장의 that절은 보어라는데 둘이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려주세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미 · 388240 · 12/01/19 23:36 · MS 2019

    2번 : 이건 동사의 성격에 따라 뒤에 목적어가 올지, 보어가 올지, 아무것도 안올지 등등이 결정되는 거에요
    문장의 5형식이라고 들어보셨죠? 그부분을 공부하셔야 할 듯 하네요
    동사의 성격에 따라서 뒤에 뭐가 와야할지, 올것이 없는지가 결정되고
    예를들어 그 동사가 완전타동사이면 뒤에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이기때문에 주어, 동사, 목적어 이 세가지
    성분만으로 그 문장이 완전한 것이고, 만약 동사가 불완전자동사이면 뒤에 보어가 와야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이 댓글로 그부분을 다 설명하기엔 벅차고요. 네이버에 문장5형식이라고 치시면 많은 블로그가 뜹니다.
    그거 보시고 공부하시면 될 것 같아요.

    3번 : 이것도 2번과 뭔가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첫번째 문장에서 mean은 그냥 '의미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볼 수도 있겠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을 의미하다'라는 타동사 입니다. 즉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이죠.
    따라서 mean 뒤에 오는 that 절은 mean의 목적어를 대신하는 목적절입니다.

    그리고 두번째 문장은 동사에 is 가 왔죠?
    (혹시 보어에 대해 모르시면... 보어를 아셔야 하구요 보어설명은 생략할게요)
    동사 is는 뒤에 명사나 형용사가 올때 주어를 보충설명해주는 주격보어가 오게됩니다.
    음 예를 들자면 '주어 + be동사 + 어쩌구저쩌구'라는 문장을 보면 해석할때
    주어는 어쩌구저쩌구이다 라고 해석하게되어서 어쩌구저쩌구가 주격보어가 되죠.

    이 문장에서도 that절이 my weak point의 주격보어로 쓰였네요
    따라서 that절이 보어절로 쓰인것 이구요.

    이 둘의 구분은 동사의 성질에 따라 결정됩니다.

  • 도미 · 388240 · 12/01/19 23:40 · MS 2019

    1번에 복합관계대명사는 제가 해석할줄만 알고, 정확히 설명드릴수는 없을것 같아서 안쓸게요.
    근데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는 하는 역할은 비슷해요.
    그런데 관계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뒷문장이 불완전하구요
    관계부사는 부사역할을 하니까 뒷문장이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이해가 되셨으려나^^.. 안되셨을듯한데 이렇게까지밖에 제 지식이 ㅠㅠ

    그리구 형식에 대해 약간 덧붙이자면
    look 은 '~처럼 보이다'라는 의미로 뒤에 보어가 필요한 동사이고
    look at 은 '~을 보다'라는 타동사입니다.
    이런식으로 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야 하는데
    수여동사..라고 들어보신적 있으시죠? 이런게 4형식 동사이고..
    call 같은게 대표적인 5형식 동사에요.
    설명하기엔 양이 엄청 많네요
    문장 5형식은 문법공부하실때 문법이해하기위해 필수적인 부분이라...
    꼭 알아두시는게 좋답니당...

  • 짜증나ㅡㅡ · 379358 · 12/01/20 19:40 · MS 2011

    복합 관게대명사 관게대명사 what 선행사가 생략된 관게부사 아거 정말 쌍 팔년도 문법입니다 이건 명사이고요 그 뒤에 관게대명사나 관게부사가 딱 들어붙은 융합 명사구입니다 또 이 말도 어려우면 이 단어들이 나오면 그뒤에 / 를 치고 그 아래 문장을 해석 한 후 은 는 을 붙여서 해석하면 됩니다 단 -ever 가 붙은 말은 의문문이 업ㅅ지만 what 은 의문의 뜻이 있는 의문사일 때도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명사 + 수식어가 붙어 있는 것이고요 what 의 해석인 ,,,인 것 [거의 대부분 이 뜻임] ,, 인 곳 ,,인 사람 정도로 헤석하세요

    가장 중요한 것은 wh- 가 붙은 문장은 wh- 포함해서 완벽한 문장입니다 라는 걸 명심하세요

    그리고 that 은 문장연결하는 접속사이고요 형식 그런거에 구애받지마세요 여기서는 명사자리에 안긴문장 즉 명사절을 넣겠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