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로티 [402487] · 쪽지

2012-11-18 13:36:45
조회수 3,193

고려대 인문 A반 논술 후기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3223110

계속 헛방구나오고 똥이너무 마려워서 정신없이 풀었어요 ㅜ 도중에 못풀겠으면 수리도 막 건들고..

붙는건 희망도 안하고요 돈 낸게 아까워서 어디가 틀렸나라도 보고 싶어요

1. 2는 공정성과 가치훼손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시장 도덕성의 한계를 통해 인간 삶 전체에 만연해 있는 상품화 경향을 반성함

2. 가에서 상품화 대상은 매, 자발적 결정이나 생계 유지 위한 반강제적 결정이므로 공정성에서 문제

3. 처벌의 본래 의미 퇴색, 인간 신체의 도구화로 가치훼손, 따라서 가의 매품은 시장의 본분에 적합하지 못한 상품화

4. 나에서 하객 도우미 아르바이트, 공정성과 가치훼손 문제 없음

5. 판매와 구매가 순전히 자발적 의지에 의해 이루어졌으므로 공정성 갖춤

6. 구매자의 부질없는 허세는 개인적인 문제일 뿐 사회적인 가치의 훼손은 이루어지지 않음

7. 따라서 나의 하객 도우미 아르바이트는 2의 관점에서 적합한 상품화

8. 2와 3 공통적으로 자기조정 시장 비판, 하지만 2는 도덕성의 측면에서, 3은 상품의 본질적 의미 측면에서 근거를 다룸. (이거똥망같음)

9. 이를 나에서 찾아볼 수 있음, 하객 도우미 알바가 2측면에서는 문제 없음, 하지만 3측면에서는 인간의 신체를 통한 노동이라는 점에서 문제

10. 2는 타당함. 시장의 도덕성을 지킴으로써 사회복지와 안정을 꾀하는 효과가 있음.

11. 예로 생활고를 겪는 노인이 막노동을 하는 행위는 공정성에서 문제가 있고, 노인공경이 약화된다는 가치훼손이 일어남. (이거도막장같음)

12. 반면 3은 오히려 3이 주장하는 것이 완전히 유토피아적

13. 노동 토지 화폐의 거래없이는 현재의 사회발전이 불가능했음.

14. 산업사회 초기의 노동 집약적 산업, 토지의 거래를 통한 대량 경작이 현재의 발전을 이룸

15. 따라서 3의 주장은 현실과 모순됨

16. 따라서 물질적 재화가 아닌 것의 상품화는 2의 논지에 따르는 것이 적절함


수리논술

2-1 이건 뭐 다 쓴 것처럼 쓴 듯해요 기억도 안남

2-2 6가지 경우는 모집단이 4일 때 표본이2인 표본집단으로 이해가능
      모평균=표본평균이므로 기댓값의 평균은 100+50+70+20/4 = 60

3-2 노가다노가다노가다 1/2 1/2 답80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avid Guetta · 372551 · 12/11/18 13:39

    인문은 사람마다 다 다르게 본듯;;; 원래 고대스타일이 이랫엇나

  • Peroz Aramis · 194126 · 12/11/18 13:41 · MS 2007

    인문 난이도가 살짝은 있던 모양입니다...
    지금 보고 나온 제자들 답을 취합해 보면 가치훼손 문제는 공정거래 속에서도 발생할 수 있고 결혼식하객도우미는 공정거래이나 가치는 훼손한다 라고 쓴 친구들이 꽤 있는 것 같은데
    지금은 저도 제시문 못 봐서 잘 모르겠고 더 봐야 할 것 같네요

  • d.s.l.g. · 367478 · 12/11/18 13:52

    나제시문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마이클센델 에서 나온듯합니다..

  • 외질 · 351351 · 12/11/18 13:43 · MS 2017

    님덜 근데 2-2 문제가 뭐뭐 구하는거였죠? (a,b) 가짓수 6개랑 각 확률이랑 총 기댓값이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