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연 [417106] · MS 2012 · 쪽지

2013-05-31 23:37:46
조회수 1,253

생2 질문 투척! 아시는 것만이라도 지식 기부 좀 부탁드려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3693370

1. '젖당 오페론'에서 조절 유전자는 항상 발현된다. (  ).
 => ㄱ. 따라서 억제물질의 양은 늘 증가한다
 => ㄴ. 하지만 생성된 억제물질은 일정하게 줄어들어 결국 결과적으로 억제물질의 수 (혹은 농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 ㄷ. 기타 (여러분의 생각)

(  ) 안에 들어갈 말은 ㄱ이 맞을까요? ㄴ이 맞을까요? 아니면 제 3의 답변??


2. 단일클론항체에서
B림프구는 선택배지에서 10일 이상 생존하지 못한다.
암세포* 는 선택배지에서 증식하지 못한다. 참고 : '암세포*' 는 인위적으로 돌연변이 시킨 것입니다 (수능특강 인용)

       @ 소질문 1) 여기서, 선택배지에서 증식하지 못한다 라는 말은 '죽는다'는 의미인가? YES or NO

B림프구와 암세포*를 융합한 잡종 세포는 선택배지에서 15일 이상 생존한다.
따라서, 선택배지에서 15일 이상 배양하면 항체를 생성하는 잡종 세포만 얻을 수 있다.

       @ 소질문 2) 소질문 1에서의 답이 YES일 경우, 잡종 세포는 어떻게 선택배지에서 15일 이상 생존 가능한가
       @ 소질문 3) 소질문 1에서의 답이 NO 일 경우, 선택배지에서 15일 이상 배양해도 잡종 세포와 암세포* 가 섞여있게 된다. 어떻게 분리할 수 있는가?

오늘도 대한민국의 한 학생은 지식 부족 증상으로 시름시름 앓고 있습니다.
이 불쌍한 학생에게 여러분의 지식을 나눠주세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ickero · 417746 · 13/06/01 00:01 · MS 2012

    젖당오페론은 저도 궁금하네요... mRNA가 번역되면 베타갈락토시데이스가 만들어질건데, 그게 사라지는건지 뭔지...ㅠㅠ

  • 애연 · 417106 · 13/06/01 01:07 · MS 2012

    그게 사라지는건지 뭔지 -> 이거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겠네요 ㅜㅜ 죄송해요... 짐작가는데로만 답해드리면
    음성 피드백 아시죠?? 젖당오페론을 음성 피드백처럼 생각하시면 되요
    젖당이 있을 때, 젖당이 억제물질과 결합하여 작동부위에 결합하지 못하게 하면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할 수 있게되고 구조 유전자가 발현되어 mRNA가 전사되고 이 mRNA가 번역되서
    베타갈락토시데이스(=락타아제)를 생성하게되고 젖당을 분해하게 되잖아요.
    그 결과 억제물질과 결합하여 젖당오페론을 작동시켜주던 젖당의 수가 줄어들고 억제물질이 작동부위에 쉽게 결합하게 되어
    mRNA의 전사가 덜 이루어져서 베타갈락토시데이스의 생성이 줄어드는 방식이예요.
    결과물이 원인을 억제하는...

    간단한 예를 들면,
    젖당을 조금씩 일정량 계속 공급한다고 가정하고 젖당 오페론의 개수는 여러 개라고 칩시다
    1. 젖당 공급 시작 이전에는 젖당이 없어서 모든 젖당오페론이 젖당분해물질을 생성 X
    2. 젖당 공급 후 억제 물질에 젖당에 결합함
    3. 많은 수의 젖당오페론이 작동하여 젖당분해물질 생성
    4. 생성된 젖당분해물질에 의해 젖당이 분해되고 젖당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어듬.
    5. 젖당이 일시적으로 줄어듬에 따라 억제물질이 오페론에 결합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됨
    6. 젖당분해효소 생성이 줄어듬
    7. 젖당이 일시적으로 많아짐
    이후 3~7 순차적으로 반복


    이게 원하시는 답인지 모르겠네요 ㅜㅜ 그냥 소소하게 아는거 나불거려 봤어요...ㅠㅠ
    근데 락타아제를 베타갈락토시데이스 라고 부르시는 분은 처음 뵈요... 대학생이신가요??

  • rickero · 417746 · 13/06/01 17:52 · MS 2012

    아뇨 올해현역입니다. 학교에서 선생님께서 베타갈락토시데이스라시길래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락타아제였군요!

    제가궁금한 점은 생성된 락타아제(?)가 효소인데 반응을 하고나면사라지는지 아닌지가 궁금해서요. 굳이 계속해서 분해효소를 만들지않아도 원래존재하는것도 있을건데 말이죠 ㅎㅎ

  • 애연 · 417106 · 13/06/01 18:39 · MS 2012

    답변드릴게요. (저도 이 질문 올리고 좀 더 공부하다가 알게된 사실입니다)
    효소든 항체든 우리몸에서 필요에 의해 합성되는 물질은 사실 나름의 수명이나 주기를 갖고 잇는 물질이 됩니다.
    한번 만들어진게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분해되거나, 제거가 되는 식이죠
    따라서, 효소도 사라지기는 합니다. 다만, 반응이 끝나자말자 사라지는 건 아니고 일정시기가 지난 뒤
    특정 메커니즘을 통해 없어지는 식이라고 할까요? 예를 들면, 우리 몸의 세포질 내에서 필요에 의해 번역된 단백질을
    쓸모가 없어지거나 수명이 다하면 리소좀에 의해 세포 내 소화 되듯이 원핵생물도 그 나름대로의 메커니즘을 통해
    생성된 젖당분해효소를 사라지게 하겠죠^^

    베타갈락토시데이스의 같은 말이 락타아제이긴 한데, 선생님께서 굳이 베타갈락토시데이스라고 쓰신건
    원핵생물이어서 아닐까하고 추측해봅니다... 진핵생물인 우리 몸에서는 락타아제라고 들 많이 하잖아요
    뭐 어찌됬건 젖당분해효소 = 락타아제 = 베타갈락토시데이스 인 건 변함없는 사실이므로 문제는 없겠지요 ㅎ

    수능 한방에 잘 치시길 바라요^^ 저처럼 재수하지 마시고...

  • rickero · 417746 · 13/06/03 00:04 · MS 2012

    답변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 몽골염소 · 438740 · 13/06/01 00:15 · MS 2012

    1. ㄴ
    2.
    '죽는다'라고 보시면 되요 YES
    잡종세포는 B림프구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선택배지에서 생존 가능하고 암세포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살아요

  • 애연 · 417106 · 13/06/01 00:44 · MS 2012

    1번. 감사합니다
    2번.
    1번에서 암세포는 선택배지에서 '죽는다'라는 결론이 도출되잖아요?
    그렇다면, 잡종세포도 15일 이상이 넘어가면 죽어야하지 않을까요?
    B림프구의 특성 때문에 선택배지에서 생존 가능이라 해봤자 10일이 한계고 (통상적으로)
    반영구적으로 살 수 있는 암세포*의 특성은 완전배지에서 배양할 때에 국한된 특성이기때문에...ㅠㅠ
    (여기서 사용된 암세포*가 일반 암세포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로 만든거라...)

  • 카카오몽쉘 · 448763 · 13/06/01 00:27 · MS 2013

    저도 배우고 있는 터라 이게 확실히 맞아 라고 이야기는 못하지만

    젖당 오페론은 작동부위가 계속 수용을 하잖아요 수용을 못하면 프로모터가 작동하는거구요 계속 수용을 하기 때문에 농도와는 관련이 없어보입니다.
    실제로 농도와 관련이 있다면 작동상에 문제가 생기지요 오래된 오페론은 주위에 조절 유전자가 너무 많을건데 그렇다면 젖당이 와도 조절유전자가 다 수용하기 전까지 반응을 못한다는게 되잖아요 만약 젖당이 소량이라서 이미 다 수용을 했는데 조절 유전자가 남는다면 발현되지 않겠지요 그러니 작동부위가 즉시즉시 수용을 하는것 같습니다.

    단일클론항체 소질문1은 yes입니다. 증식하지 못한다는 것은 즉 생명활동을 못한다고 간주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소질문 3까지 답을 하자면 잡종세포가 만들어지면 그것을 선택배지에서 10일이상 두었을때 살아남은걸 추출하면 됩니다.

    궁금증이 어느정도 해결 되셨나요?

  • 애연 · 417106 · 13/06/01 00:52 · MS 2012

    감사합니다 ㅠㅠ

    단일클론항체에 대해 한가지만 더 여쭐게요 ㅠㅠ

    일단 소질문1번 답이 yes 므로 암세포*는 선택배지에서 '죽는다'라고 보면요
    선택배지에서 10일 정도 밖에 생존못하는 B림프구와 역시 선택배지에서 죽는 암세포*를 융합한 잡종세포는
    어떻게, 10일 이상을 살게 되는 건가요?? (이게 제 제일 큰 의문이예요ㅠㅠ)

    추가로 질문드릴게요.. 죄송 ㅠㅠ
    만약, 어느 문제 조건에 B림프구는 어느 배지에서나 수명이 10일 이내고, 선택 배지에서 증식한다 라고 되있으면
    B림프구도 15일 이상 배양했을 때 살아있어야 하지 않나요?
    B림프구가 죽더라도 증식해서 새로 생긴 B림프구들이 계속 있을 수 있으니....

    (혹시, 증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0일보다 더 길기 때문에 증식하기 전에 죽는다 라고 되는 건가요..?
    맞다면, 문제 푸는 사람의 혼동을 막기 위해 증식에는 10일 이상이 걸린다 라고 따로 조건을 더 줘야하지 않나싶네요...)


    "혼자 뭔 소리 하는거야? " "걍 넘어가면 편할걸 왜 저렇게 고민하지?" 라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제가 궁금증이 워낙 많아서 그러는거니 이해해주세요 ㅠㅠ

  • 카카오몽쉘 · 448763 · 13/06/01 11:18 · MS 2013

    질문에 부담 안가지셔도 되요 저도 이부분은 오히려 더 잘 기억 날거 같아서 되려 고마운걸요 뭘

    먼저 첫번째 단일클론항체에 대한 답을 해드리자면
    단일클론 항체는 세포를 융합을하는 겁니다. 두 세포의 기능 즉 능력이 합쳐지는 거지요 이때 알아 두셔야할게 골수암의 성질과 B림프구의 성질입니다.
    골수암 세포는 번식력이 상당히 뛰어나고 잘 죽지 않습니다. B림프구는 선택배지에서 살 수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구요

    그렇다면 세포를 융합한다면 그 융합된 세포는 골수암세포의 뛰어난 번식력과 생명력을 가지면서 선택배지에서 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지요.
    제 생각에 질문자 분이 이때 융합을 하면 융합된게 선택배지에서도 살 수없고 오래 살지 못하는것도 아닌가 생각이 든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 생각은 원인에 입각한 사고가 아닙니다.
    그 세포들이 죽게되는 경우는 한계에 부딪치는거지 그 세포의 능력이 아닙니다.
    암세포가 선택배지에서 살지 못하는 이유는 생명활동을 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능력의 한계에 부딪친거지요 하지만 융합을 하면 B림프구가 선택배지에서 생명활동을하는 능력 가지기때문에 융합된세포는 선택배지에서 살 수있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융합세포가 10일 이상 생존하는것도 B림프구는 스스로 번식하는 능력이 없고 수명이 있어서 일정 시간 이후에는 죽게되지만 융합을 하게 된다면 골수암세포의 강한 생명력을 가지게 되니 오래 살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해결 되셨나요?

    그리고 위 질문에 답을 하다보니 아래 질문도 답이 나와버렸네요 B림프구는 스스로 번식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왜 스스로 번식이 되지 않는가 이 부분은 작년 교육과정 생물1을 참조하시면 가장 이상적이지만 간단히 답을 해드리자면 B림프구 즉 림프구는 혈구의 일종입니다. 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거지 자기들 스스로 증식하는게 아니에요

    궁금증 많은거 좋은겁니다 문제를 근본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거니까요 이해가 되셨나요?

  • 애연 · 417106 · 13/06/01 18:25 · MS 2012

    답변 잘 읽었습니다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하고 이해를 도와주셔서 또 한번 감사합니다.
    세상은 아직 살만한 곳인 것 같네요 ㅎ
    올해 하시는 일 모두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