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현주해] 6평 전 질문 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56995193
안녕하세요! 현주쌤 조교 입니다!
6평까지 달려오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6평은 수능이 아니니 6평 까지 그리고 6평 후에도 평소 하던대로
꾸준히 공부해주세요!
매일 현주해는 10시~12시 사이에 질문을 댓글로 달아주시면
제가 답변을 달아드리며 진행됩니다!
어떤 질문이든 일주일 동안 공부하며 생겼던 질문을 남겨주시면 최대한 성심 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사실 제 의견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제가 공부했던, 학생을 코칭했던
경험을 가지고 여러분에 고민에 함께 하겠습니다.
어떤 것이든 질문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릴게요 :) 감사합니다 ㅎㅎ
아래는 제 프로필입니다!
영재학교 차석 졸업
2021 6.9.수능 국어,수학 1등급
2021 수능 생명과학 만점
울산대학교 의예과 합격
+ [현주T 컨텐츠 구독/구입/신청 페이지 안내]
1. 현주간지 구독 페이지 : https://special.orbi.kr/yhj2022/
( 현주간지 구독시 구독 시작한 달의 교재부터 받으실 수 있고,
이전달 교재를 받아보시려면
https://atom.ac/books/8262/ 페이지에서 과월호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상상모의고사 해설 인강은 제공되지 않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현주간지 구독자들은 2022 수능대비 상상모의고사 해설 강의가 무료로 제공됩니다.
2. 현강 수업 신청 페이지 :
현강/비대면현강 수업 신청자 모두 현주간지 무료
비대면현강 1년내내 70%유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34918
현장수업은 각 학원에 문의해주시면 되고,
비대면 현강은 위 게시글 클릭해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3. 스위치PT 페이지 : https://special.orbi.kr/yhj-switch/
4. 파이워치 구매 페이지 : https://atom.ac/books/7521/
+ <현주T 이벤트 >
무료참여) 전원 플래너지급 6모 해설 :https://orbi.kr/0005696196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람들이 제일 부럽다 어떻게그런자신감이…
-
제 개인 노트북이 맛탱이가 가버려서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지 못 하여 결국 이번만...
-
화미생지 vs 언미생지 국어 후순위 두고 화작 선택하고 미생지에 시간 투자 Vs...
-
동아리->내 인생 웹툰이자 인생의 절반을 손해로 만든 웹툰 1
재우 이년 걍 ㅈㄴ 부럽네 진짜 종합적으로 따졌을 때 동아리가 1등이다
-
마누라 똥누며 똥방귀 소리 현실은 대부분의 서민남자들이 결혼하는 여자들은 좃못이라...
-
개 많네
-
10을 2로 나눈다 해놓고 "10 2" 이렇게 써놓음 진짜 개빡대가린가
-
다시 돌아오면 안되나
-
대학 가면 출신고등학교, 출신학원 카르텔 진짜있냐? 5
옛날에 유튜브에서 봤던거같은데 ㄹㅇ 자기 고등학교 잠바 입고다니고 시대애들끼리 다님??
-
확통 했으면 7
암만 못해도 연대식으로 705는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미적 28 29 30...
-
1학년 기숙사 의문데 만약에 존나 큰 잘못을해서 기숙사 퇴사당하면 어케됨?
-
오늘 안 씻어도 되는 날이야
-
국어 비대면과외 0
아이패드도 사고... 열심히 지문분석도 하고..... 학생은 도대체 어디서...
-
기분탓인지 진짜인지 모르겠는데 김승리 강의 들으면서 비문학감 흔들리는거같음.....
-
연고대에만 있는거임? 딴학교 친구들이 이런 말 하는 거 들어본 적 없는 것 같은데
-
선생님 말만 열심히 받아 적고 외우면 1등급 가능함?거리감이 아예 없음
-
흠
-
중하위지거국이구 1배수 살짝 밖에 예비번호받았습니다..이번에 통합되어서...
-
단어를 존나모름 저 해석은 좀치는데 ㄹㅇ 모름
-
8년 고민 중
-
1월2일부터 재수 시작했는데 공부를 많이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서 여쭤봅니다....
-
그니까 설경 보내주세요 흑흑 1년 공부 존나게 할게요
-
금테가 확실히 3
좋긴해
-
무례하고 천박한
-
진짜 현실에서 마주칠 수 있는 오르비언이 있다는걸 오늘 알게됐음
-
어디 인증하지 3
흠
-
술마셧어 1
하이볼먹음 오랜만에 이정도갖고는 이제 느낌도안나네
-
국수 1컷에서 백분위 99 이상 가려면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용? 1
수시 의대 최저 노리고 있는데 수능날 떨어질 변수 생각하면 백분위 99 실력을...
-
ㅇㅈ 2
없어
-
피곤하지 않을까? 2탕 뛰는것도 쉽지 않은데 ㅎㄷㄷ 저게 가능하네ㅋㅋ
-
몰래 회동했었는데~
-
뭐 끝내고 풀어야하죠 특히 수학 사탐이여
-
오늘 재수학원에서 만났는데 외대 경제 광탈하고 단대 자전이랑 경대 공대 발표...
-
손이나 인증하자 6
-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없는거죠?
-
잘맞나요?? 암산 나름 빠른편이긴합니다
-
맞팔하실분 옯스타 공스타 상관x 저는 본계드림
-
지겹다 지겨워 8
이놈의 인기
-
귀찮군 1
귀찮아짐
-
고의 3명 연의1명 설의 1명 경희 1명 아주 1명 인설의 농어촌은 지방의 정도면...
-
어떤 거 가는 거 추천하시나요?? 경남 사는데 서울까지 가는 비용이랑 시간이 만만치...
-
신고로 블라인드처리됏네
-
수분감 스텝0을 풀고 뉴런을듣고 스1,2 푸는거임 ?
-
그냥 뇌비우고 공부 벅벅 하면 알아서 면허 주고 진로 정해 주는데 문과는 진짜...
-
그냥자이스토리하면 다들어잇나요
-
야식 ㅇㅈ 7
맛좋은 통삼겹 한 점
-
ㅅㅂ큰일났다 3
이거지금이라도내려야하나??
-
내 인생에 그런건 없을거깉음 뭔가그럼 고양이나 키워야지
-
25수능 기출 보니까 기분이 이상하내 시발…….
오늘도 질받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전 과목에 해당되는 얘기인데요
예전에는 시험 볼 때 풀 수 있는 문제 최대한 풀고
쉬운 문제에서 실수했을 수도 있으니 꼭 검토 한번 해보자
이런 마인드였는데 이러니 어려운 문제를 풀기위한
시간확보가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지금은 모든 문제를 풀더라도 검토할 시간이 안 날 수
있으니 차라리 한번 풀 때 절대 틀리지 않겠다는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건가 고민이 되는데
실전에서 검토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사실 저는 이론적으로 시간이 남지 않는 다면 검토를 하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물론 가채점도 마찬가지입니다!
( 마킹 검토는 정말 치명적이니 이정도만 했던 것 같아요 )
즉, 문제를 다 풀고 나서 검토를 해야한다는 생각입니다.
우선 그 이유는 말씀해주신 것 처럼 한번 풀 때 절대 틀리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수능까지 공부하시는게 맞다고 생각해서입니다.
또한, 결국 검토라는 것은 틀린 것을 찾아내는 것인데, 시험 시간에 긴장되기 때문에 그것이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또한 공부할때에도 한번에 잘 푸는 연습을 하는 것이 훨씬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검토는 정말 어려운 문제라 못 풀것 같다 혹은 다 풀고 시간이 남는다 이럴때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1. 실전에서 수학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눈으로 풀이 방향 먼저 생각하고 펜 드시나요? 아니면 손이 가는대로 푸시나요?
2. 수학 문제를 풀다가 막히면 단순히 넘겼다가 나중에 다시 푼다 같이 시험을 잘 조는 요령 말고 그 문제 자체를 풀어내기 위해 해야 하는 생각이 있을까요? 내가 배운 것 중에 뭘 물어보는 것인지 생각해본다든지..
3. 범위를 많이 나눠서 일일이 해봐야 하는 경우처럼 문제 호흡이 길어지는 경우 뇌정지가 오는데 차분하게 모든 케이스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1. 저는 눈으로 먼저 풀이 방향을 정하고 펜을 듭니다! 물론 그때그때 다르지만 (보자마자 손이 움직이며 조건들을 사용할 수 있게 정리하는 정도는 눈으로 보기 전에 합니다! ) 최소한의 시간을 사용하며 풀려고 노력합니다. 어떤 조건들이 있는지 어떤 문제인지를 먼저 보고 어떻게 풀면 좋겠다라고 생각하고 풉니다!
2. 제 칼럼 보시면 자세히 나와 있어서 좋을 것 같아요! 결국에 제가 가지고 있던 문제 풀이 방법 중 하나를 꺼내야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건들을 살펴보며 역으로 어느 단원쪽인지 어떤 개념을 사용해야할지를 생각합니다!
3. 이건 아무래도 깔끔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평송 ㅔ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방법이 따로 있기보다는 1) 2) 3)으로 나누는 연습을 어려운 문제로 평소에 해두고 반복 체화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칼럼 2개 모두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학 잘하는 사람의 사고과정을 읽어볼 수 있어서 매우 피부에 와닿게 느껴지네요..
그럼 조교님께서는 문제 풀이 순서가
1. 일단은 크게 생각하지 않고 문제에 나와있는 조건들 한 곳에 모아서 정리해두기
2. 각 조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조건들끼리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생각래보기
3. 계산하기
이렇게인가요? 2번 과정을 잘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많이 푸는 것이 최우선일까요?
네 맞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문제를 많이 푼다기 보다는 일주일에 3번 정도 어려운 문제를 풀어보고 분석하고 부딪히는 과정을 겪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또, 양보다는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며칠전에 스위치피티 결제했는데 아무 연락도 안와서요… 어떻게 되는건가요?
혹시 쪽지로 연락 주실 수 있나요?
스위치 pt 언제부터 신청할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