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오개념 조심하시길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62365619
2021년 수능이 치뤄진 이후 커뮤니티 그리고 뉴스를 뜨겁게 다룬 두 문항이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두 문항 모두 생명과학 문항이었고, 그 중 한 문항은 저 포함 여러 선생님들을 재판장으로 이끈 다시 나와서는 안되는 문항이었네요
22 수능 생1 - 오개념 논란 | 22 수능 생2 - 명백한 오류 |
사실 생2의 여파에 감춰졌을 뿐 생1 또한 생리학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문항이었으나
다른 선지들이 명백하게 틀려 고를 선지가 하나뿐이어서 유야무야된 경향이 있었습니다.
해당 개념이 활용된 문항, 그리고 비슷한 생리학적 오류가 있는 문항이 24학년도 수특에 있어 올해는 조심하셨으면 하여 글을 올립니다.
22 수능 생1 - 생리학적 Issue | 24학년도 수특 생1 - 유사 문항 |
시상 하부는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체온 변화를 인지하고 조절합니다.
24학년도 수능특강 - 체온 조절 과정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6p |
이때 "정상" 체온이라는 전제 하에 높은 환경적 온도에서, 말초적 수용기가 이를 감지하고 체온 조절 중추(시상 하부)에 정보를 보내 다음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7p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5p |
issue의 핵심은 715페이지의 '설정 온도'입니다. 설정 온도는 상황(저체온, 열탈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보통 한정된 범위(35.5~37.7도)에서 설정되며 22학년도 수능 문항의 ㄷ 선지는 "정상 체온"을 가정하고 "높은 환경적 온도"를 전제하였으나 생리학적으로 다음 경우에 이슈가 됩니다.
"체온이 35.5도이고, 36도의 물체를 만졌는데,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는 36.5도이다. 그래도 땀 분비량이 증가하는가?"
22학년도 9평 생1 | 22학년도 수능 생1 |
(설정 온도 개념은 당해 수능의 경향을 안내하는 당해 9월 평가원에서도 친절하게 안내되고 있습니다.)
시상 하부의 설정점(설정 온도) 입장에서 36도는 환경적 온도에 있어 - 이고, 체온의 입장에서 36도는 온도에 있어 +입니다.
이와 같이 문제가 있는 선지이나 학생 분들 입장에서는 다음 3가지 중 하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1. 해당 문제의 쟁점을 ㄱ 선지에 맞추셨거나
2. ㄱ, ㄴ이 틀리다고 판단했을 때 맞는 선지가 ㄷ 선지여서 고민 없이 넘어갔거나
3. 설정 온도 개념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민하지 않으셨거나
그러나 이제 재출제될 경우를 대비해서 이 개념을 정확히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4학년도 수능특강 문항과 해설을 보겠습니다.
혹여 위 문제가 궁금하시다면 위로 가셔서 풀고 오시는 걸 권장드리겠습니다.
.
.
.
.
.
.
.
24학년도 수특 생1 - 유사 문항 | 유사 문항 해설 |
ㄴ 선지 해설을 봅시다.
㉠에서 땀 분비량이 증가한 것은 시상 하부가 체온보다 높은 온도를 감지했기 때문이고,
㉡에서 열 발생량이 증가한 것은 시상 하부가 체온보다 낮은 온도를 감지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는 시상 하부는 체온, 그리고 체온보다 높은 온도를 감지한 것이 아니라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그에 따른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것이고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7p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6p |
이 역시 앞서든 반례와 유사하게
체온이 35.5도이고, 체온보다 뜨거운 물이 36도이며,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가 36.5도일 때 문제가 됩니다.
* 해당 24학년도 수특 유사 문항에 대한 첫 Issue 제기는 메가스터디 러셀 '이석준' 선생님께서 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2화2 선택자 전체 2틀
-
상경,사과대 등등 다 빵꾸난거 같은디
-
존나 빡세네 개시벌 쳐 듣지도 않고 매번 번장에 올릴거면 하지말라고 ;
-
문과 서울대 0
390.8x 되는 과 있었나요? 문과고 제2외 포함 점수입니다
-
진학사에서 4칸~5칸 간당간당하다고 겁 ㅈㄴ줬었는데
-
다들 축하합니다
-
정외 설마설마 했는데 와.. 그래도 394까진 갈만했는데 ..
-
자리 꽉찰 거 같은데 내가 건물주할테니까 1층부터 8층까지 건물짓고 약사랑 한의사...
-
추합 기다려야돼서 최초합 된 학교 일단 혹시모르니까 등록해두려고 하는데 등록해놓고...
-
서울대가야겠지 7
달리갈곳없다는 bad 댓글은 ㄴㄴㄴㄴ
-
ㅜ
-
96x인가
-
진짜 맞춘게 하나도 없는데? 심지어 이상하게 잡은 과 중에서 폭발한 과들도 많음...
-
렛츠고.
-
취뽀했을 때가 더 기뻤음
-
부모님도 축하해주시고 친척분께서도 전화 걸어서 축하해주시는데 반수 생각만 듦. 별로...
-
일단 집이 잘사는건 확실해
-
설대식 0
390.8x 되는 과 있었나요? 문과고 제2외 포함 점수입니다
-
메디컬 어디까지 버리고 서울대(님들 원하는과) 가실 수 있음?
-
현역정시설의… 0
현..역 정시 설..의ㅣㅣㅣㅢㅢ ㅢ ㅢㅢㅢ 와
-
한반도 최고 대학교
-
점공 한명 안들어와서 개불안한데;;;
-
오르비언들 캬
-
작년 재작년에도 하루 일찍하더니 올해는 왜..
-
재수생 누가 더 많을 것 같음? 지금껏ㅅ 그런것처럼 27이 또 기록깨고 많을라나
-
높으신분들 자제...읍읍...
-
카나토미는 서버도 터지고 ㄹㅇ 치열한듯
-
학은제 0
제공해주는 업체 사기꾼 많은 곳인가 네이버 지식인에 학은제관련 질문글 하나 올렸는데...
-
2024년 요약 2
그러하다
-
교차지원입니다!
-
6시 되자마자 새로고침하니까 패드 프로 m4가 렉이 걸리네 ㅋㅋㅋㅋ
-
최초합 어케했노
-
뽕이차오르는구나 4
음 그래그래 1년만 기다려 서울대야
-
고1 같은반에서 4
의대 설문천 설경 다 있네 답없는 삼수생 26수능참전
-
5-6시에 나오면 자취방을 못구하는디..
-
진짜 운이 좋았네요... 소수과인데 진학사 보니까 저보다 0.5점,0.4점 정도...
-
나는야수시충물범
-
5시인가요?
-
나 재수때는 엄마가 돌렸는데 서른 먹으니까 쪽팔리다고 안돌리심;
-
난 부계로 수1먹었는데 하.. 낼 미적먹고 그담에 부계2로 수2가능? 미적인기봐라
-
다들 축하혀 일주일만 기다리면 나도...흐흐
-
히히
-
건대... 0
17명 뽑는과인데 예비 31번이면 가망없나요 ㅠㅠ
-
싶으신 분들 댓글 좀요 일단 설경제 395 밑 뚫림
-
아 웃음이 자꾸 나오네 10
오늘은 대놓고 자랑 좀 할게 이해해줘
-
ㅇㅈ 0
난 서울대보다 카나토미가 더 중요하다
-
서울대 붙었슴다 4
안가린거없겟죠
-
경북 vs 시립 5
과연 어느 학교가 최초합 발표가 더 늦게 나올지...
논리적으로 정리를 잘해주셨네요. 생1수험생들은 이 글 정독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Hyunu님 칼럼 잘 읽었습니다.그런데 궁금한 점이 하나 있는데, 체온 항상성 문제들을 보면 분명 텍스트로는 시상하부 온도 상승>덥다고 인식>체온 낮출려함>발생량 감소 발산량 증가>체온 낮아짐
이렇게 순서와 인과적으로 배웁니다.
그런데 막상 그래프로 제시된 문제들을 보면 완전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그려지는데, 그럼 위의 순서들이 의미가 없는것 아닌가요?
직관적으론 순서가 있는게 확실한데 아니면 우리 몸의 위의 일련의 작용들이 순서는 분명 존재하지만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서 체감상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과학강사 이석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하여
2023.10.시행 교육청
생1 19번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인과관계, 시간의흐름에따른순서가
존재한다는것을 아실수 있을겁니다~
앗!! 이미 입시가 끝나서 이제는 상관없긴 한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의대에 진학하면(붙길 ㅠㅠ)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어요!!
제가 작성하신 글을 너무 늦게 봤네요..ㅜㅜ
아무쪼록 부디 좋은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