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4-06-28 18:47:13
조회수 56

8~9.호르몬과 항상성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68562154

혈당 삼투 티록신 피드백.


호르몬의 특징 : 미량으로 생리조절 가능 내분비샘에서 생성 혈관으로 분비, 표적기관에만 작용, 과다증 결핍증 있음.


외분비액 : 땀 침 눈물

내분비액 혈관을 통해 분비되는 것

 순환계을 통해 전달도 같음


호르몬의 종류에 관해서는 안외워짐. 저번에 할 때 열심히 외웠던 것 같은데 주기적으로 복습이 필요해보임.


간뇌 자율신경  : 이자, 부신 속질


뇌하수체 전엽


생식샘 자극 호르몬  fsh, lh  정소난소

부신겉질 자극호르몬  acth  부 겉

갑상샘자극호르몬 -중요  tsh 갑상선

생장호르몬 -중요


후엽

항이뇨 호르몬 -매우매우 잘나옴(adh)

옥시토신


갑상샘 티록신+, 칼시토닌(혈중 칼슘농도


부갑상샘 파라토르몬 칼슘농도 증가


이자 베타세포 인슐린  알파세포 글루카곤

 표적세포는 간으로 간에서 글리코젠을 포도당으로(글루카곤) 포도당을 글리코젠으로(인슐린)


부신 속질 에피내프린(아드레날린)

       겉질  무기질 당질 코르티코이드 



티록신 갑상샘에서 분비 , 주로 간과 근육세포에 작용,

          포도당을 분해해서 열과 에너지를 발생시킴,

          심하면 더위를 많이다고 체중감소 신경과민

          주성분은 아이오딘., 해조류에 많음

          바제도병 안구돌출


인슐린 이자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 주로 간과 근육세포에 작용

         혈당량 감소 포도당을 글리코젠으로 저장, 근육세포에 포도당 공급촉진

          부족시 당뇨병

               

            이자셈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은 혈당량을 증가시킨다.

          혈액속에 급격히 높아지면 세포가 파괴될 수 있기때문에 알파세포에 비해 베타ㅔ포가 많음.-



항이뇨 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에서 방출 . 주로 콩팥에서 작용

수분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장삼투압을 낮춤. 혈액양 증가로 혈압상승. 결국 그냥 몸에 물이 늘어난다~는 아님.

  부족시 요붕증


부신호르몬

  부신 속질(간뇌 자율신경) : 에피네프린 간에서 작용하여 혈당량을 상승 심장박동 촉진 물질대사 촉진.

  교감신경 절후 말단에서 분비해서 흥분시킴과 동시에 그것을 조금 더 지속시키기 위해서 분비하는 듯.

  

  부신 겉질(뇌전)

  당질 코르티코이드 : 지방이나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 혈당량 상승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na 재흡수 촉진


항상성 (중추 간뇌 시상하부)


호르몬 뇌하수체 전엽 내분비샘  갑상샘 자극 부신 겉질(코르티코이드)

자율신경 뇌하수체 후엽 옥시토신, 항이뇨 호르몬 

자율신경 내분비계 이자(베타 인슐린)와 부신속질(에피네프린

자율신경 피부혈관 수축 털새움근



피드백 

음성피드백 : 결과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려함 대부분 호르몬 조절 과정 모든 항상성 조절과정

양성 피드백 : 더 더 더 옥시토신의 자궁수축 결과가 원인이 되어 계속 촉진됨


티록신 분비조절


간뇌시상하부에서 적다면 trh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 tsh 갑상샘 자극 티록신 

 많아지면 다시 줄여!! 함

그런데 요오드 농도가 적다면 티록신 분비가 적어서 계속 간뇌와 전엽에서 티록신을 생성하라 하지만 갑상샘에서는 생산하지 못하므로 갑상샘이 항진됨,



혈당량 조절은 간단함

간뇌 시상하부가 중추고 혈액 중 포도당 농도가 0.1%유지해야하고

농도가 높을 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되어 이자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이 생성

포도당을 간과 근육세포에 욱여 넣는다.

거기에 인슐린을 포착한 간에서는 포도당을 글리코젠으로 바꾼다.

그러나 또 줄어들게 된다면 교감신경이 이자 알파세포를 자극 글루카곤을 분비시킨다. 

교감신경이다보니 부신 속질을 자극해서 에피네프린을 분비하고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 겉질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분비하게하너다.


체온조절. 

간뇌에서 교감신경이 피부혈관수푹 철세움근 부신속질 이자 알파세포를 자극해서 에피네프린 분비가 촉진되며 글루카곤이 생성된다.  그로인해 물질대사 촉진 심장박동 촉진 글리코젠의 포도당화가 진행되고


뇌하수체 전엽에서 tsh를 분비 갑상셈에서 티록신을 분비 물질대사를 억제하너다.


더울때는 교감신경이 억제되어 피부혈관의 확장 털세움근의 이완이 된다.

ㄴ뇌하수체 전엽에선 갑상샘 티록신 억제 물질대사 억제

trh tsh



시상하부 온도에 따라는 조절


온도 높 교감신경 억제 피부혀로관 확장 힘빼~ 갑상샘 자극 그만둬!

온도 낮 교감신경 활동 이자 a세포, 부신 속질 에피네프린 등등등



삼투압 조절 

간뇌 시상하부 중추,. 체액 농도 0.9%유지 혈당량보다 높다.


삼투압 조절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하고 공팥에 작용하여 수분제흡수를 증가시킨다.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겉질에서 분비하고 공팥에서 작용 na재흡수를 증가시키고 k분비를 촉진


내분기계 질환


당뇨병 혈중 포도당농도가 높은 상태로 지속되면 오줌으로 포도당이 빠진다.


거인증 외소증 생장호몬 이상

갑상샘 항진증과 저하증 

과다 바제도평 , 과소 크레틴병


요붕증 항이뇨호르몬 부족, 콩팥 이상.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