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ene_ [1051936] · MS 2021 · 쪽지

2025-02-08 12:46:22
조회수 873

17~19내내 국어가 눈알굴리기가 기조였는데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71858167

이거도 당시에 욕 먹었지만


그 와중에도 참신한 회차가 많이 있었죠

예를들어 1709 사단법인 지문이라든지... (첫 비문학 과외때 전 항상 이 지문을 써요)

1806 dns라든지


수험생 입장에선 어떤 경우의 수든 다 대비하는 것 밖에 없긴 해요..


당장 23때도 비문학 잘 내고 언매 잘 내고 문학 핵물이었는데

24 평가원 내내 문학에서 난리피울줄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시기다리는 · 702831 · 14시간 전 · MS 2016

    모든 국어는 눈알굴리기로 풀린다고할수있어서..
    이건 각 사람별로 눈알굴리기의 정의가 달라서그런것 같아요.

  • Serene_ · 1051936 · 14시간 전 · MS 2021

    그것도 맞는 말이죠. 장문 위주의 정보 찾기 자체가 주가 되던 시절이란 얘기가 하고 싶었네요 ㅎㅎ

  • 정시기다리는 · 702831 · 14시간 전 · MS 2016

    1709 추억의 시험이네요.
    평가원이첨이자마지막으로 단어 3개냈던

  • Serene_ · 1051936 · 14시간 전 · MS 2021

    처음 수업할 때 학생들이 대표 이사가 기관이다 라는 말을 본문에 의거하여 이해 하는 게 재밌더라고요 전 ㅋㅋㅋㅋ

  • 진진진이 · 1350590 · 13시간 전 · MS 2024

    사단법인 지문 저도 풀고 되게 좋다고 생각했어요
    비문학 지문에서의 어휘를 정의하는 방식과 그 사용을 잘 체화할수있다고 생각함요 ‘대표이사’가 ‘기관’이라는 거엿나? 그 요소가 되게 참신했음

  • Serene_ · 1051936 · 13시간 전 · MS 2021

    제가 주관적 생각을 빼고 지문 위주로 생각하는 게 중요하다! 라는 수업을 할 때 가장 적절한 문제라고 생각해요 ㅋㅋㅋ

  • 진진진이 · 1350590 · 13시간 전 · MS 2024

    ‘지문 위주’ 라는거 완전동의합니다
    저두 “국어과외 하게되면 이거 첫 지문으로 써야지” 이렇게 생각했었어요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