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29 [300111] · MS 2009 · 쪽지

2016-03-16 15:53:18
조회수 2,660

2016수능 수학b 30번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8145896

1.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가 나옴

~ 왜 부정적분을 보면 미분하고 대입해야 하는지 과거 기출을 보면 그 기출풀이를 근거로 풀수 있긴 합니다.

허나 진짜 이유는 부정적분은 미분의 응용판이기 때문이고
함수식의 출발은 항등식이니까 그런겁니디.

함수식은 근본적으로 항등식입니다.
그래서 함수를 배우기전에 항등식을 먼저 배우고 함수를 배우는겁니다.

그 예로 나머지정리가 있구요

나머지정리도 함수라고 볼수 있으며 항등식의 응용판입니다.

2. 수학에서 항상 통용되는 부정방정식의 논리가 나왔다.

~ 숱한 증명을 할때도 경우의 수를 구할때도 수학은 항상 경우를 먼저 나누어놓고

생각합니다.


즉 x<=b라는 조건에선 증명이라던지 경우의 수 문제라던지 부정방정식 부등식 등등



가정하고 해보는건 너무 많이 나왔구요



즉 이런건 거슬리더라도 이렇게 풀어내면 됬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