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앙응앙뚜왕뚜왕 [670064]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1-13 23:52:16
조회수 492

화학잘하시는분 컴온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9589461

철의 산화??부식??


철과 아연이 붙어있고 그위에 물과 산소(H2O, O2)가 있어요.

그래서 반응성이 더 좋은 아연이 산화하고 남은전자가 철을통해 이동하여 산소를 환원시켜서 OH-를 내놓는다고 하던디


여기서 질문

1.왜 산소가 환원되는디 OH-가 나오나여??


2.왜 전자가 철로이동한다음 산소를 환원시키는거죠..

그냥 전자가 바로 아연에서 주고받으면 안되는이유라도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체™ · 682759 · 16/11/14 00:14 · MS 2016

    반응이 일어나기는 하는것입니다. 그런데 수소이온농도가 높으면 물론 철이 있어도 수소가스가
    발생됩니다. 즉 산속에 아연도금강판을 넣으면 아연이 반응하면서 수소가스가 발생되죠. 그러나
    철은 거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산이 아연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철은 아연으로 부터 전자를
    얻을수 있으므로 이온으로 되지않고 금속상태를 유지하죠. 하지만 산농도가 너무진하면 철도 함께
    녹습니다. 그런데 실제 아연도금강판이 접촉하는 것은 바닷물이라든가 수돗물처럼 수소이온농도는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아연이 내놓는 전자가 여유가 있는것이죠. 그래서 철에 전자를 주어 철의 부식을
    막는 것입니다.결국 수소이온과 아연과의 경쟁에서 아연이 우세하다고 할수 있는것입니다.
    특히 아연이 전자를 내놓으면 물속에서 수산이온 즉 OH- 이온의 농도가 켜져서 수소이온은 더욱
    적어지게 되어 반응이 되기 힘들어 집니다.
    제 생각이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Irelosaurs · 697516 · 16/11/14 00:20 · MS 2016

    1. O2+2H2O+4e- ->4OH- 이렇게보시면 이해되시는지요?

    2. 아연에서 철로 갈때 전위차(반응성과 관련있습니다)가 있어서 아연이 전자를 받으면 철로 이동하게됩니다. 그런데 금속상태인 철은 전자를 받아 환원되지 못하기때문에 그 전자들이 물에 들어있는 수소와 결합하여 수소기체를 발생시킵니다.

  • 응앙응앙뚜왕뚜왕 · 670064 · 16/11/14 00:42 · MS 2016

    오 감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