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T [412604] · MS 2012 · 쪽지

2013-08-27 11:22:41
조회수 2,715

9월,수능에 나올 EBS230제영어예상문항+수능완성단어장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3807708

(0B) [0]

(777.2K) [626]

수능완성발음기호단어장오르비.pdf

안녕하세요. 제임스입니다.

이제 곧 있으면 9월평가원이네요.작년에도 그랬듯이

올해도 9월이나 수능에 나올 만한 문제들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대부분 학교에서 230제는 혼자하라고 거의 방치 수준인 것 같습니다.

작년 9월모평에는 고득점 330제에서 무려 9문제나 나와서 거의 영어는 멘붕수준이었어요.

 

저 개인적으로 230제 수업을 모두 끝냈는데, 작년고득점330제 보다는 다소 쉬운 것 같습니다.

그래도 몇몇 튀는 문제들이 있네요.

 

처음문장과 주제문장과 전체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 놓았으니

보시기 편리하실거예요. 예전에 올렸는데, 쪽지가 많이 와서 다시 올려드려요.

 

더 중요한 지문은 , 블로그에 놀러오세요
수능완성 실전 132문항 듣기는 수능에 절반이상씩 나옵니다. 거의 그대로요~

 

121번문항
 

폭풍요약

오락과 과일이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듯이, 경험이라는 것도 시간이 지나면 중요성은 감소한다. 경험은 책을 읽는 것처럼 정신적이며, 무형적인 것이고, 경험의 가치는 경험하려는 자발성에 기초로 하고 있다.  

 

처음문장

The crucial time-bound aspect of entertainment is its perishability.

오락에서 시간의 제약을 받는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사멸하기 쉽다는 것이다.

   

주제문장 

Not investments like gold or consumables like popcorn, experiences are intangible, with ever-changing content. The value of an experience is based on an audience member's willingness to pay for it.

금과 같은 투자물이나 팝콘과 같은 소비재가 아니라서, 경험은 계속변화하는 내용물과 함께 만질 수 없는 것이다. 경험의 가치는 청중들 개개인이 그것의 값을 치르겠다는 자발성에 기초한다.

 

 

65번문항

 

 

폭풍요약

도덕적 삶은 집단적 삶이 시작되는 곳에서 시작한다. 도덕성은 사회에 달려있다. 무인도에 혼자 남았을 때 여러분의 행동이 도덕적이냐 비도덕적이냐 보다는 정말로 중요한 것은 그 상황이다. 혼자 있을 때와 누군가 함께 있을 때는 상황은 변한다. 둘이 있는 상황에서 협력한다라는 규칙이 정해지고, 이 규칙은 무엇이 용인되는지, 아닌지의 전제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도덕성에 대한 공통된 토대는 있지만, 윤리적행위의 전체 범위가 무엇인지를 참 어렵다.

 

 

처음문장

To quote the sociologist Emile Durkheim,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general principle that the domain of the genuinely moral life only begins where the collective life begins or, in other words, that we are moral beings to the extent that we are social beings.

 

사회학자Emile Durkheim의 말을 인용하자면, “진정한 도덕적 삶의 영역은 오직 집단적 삶이 시작되는 곳에서 시작된다는, 즉 다른 말로 하자면, 우리가 사회적 존재들인 만큼 우리는 도덕적 존재들이라는 일반적인 원칙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부문장 

Whether any action you take is "moral" or "immoral" is largely irrelevant. In this case, you make the rules, and while you may draw on your experiences prior to being stranded on the island, the fact is that conditions dictate what you consider right or wrong.

여러분이 하는 어떤 행동이 도덕적인지 비도덕적인지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서, ‘여러분이규칙들을 정하고, 섬에 좌초되기 전의 경험들에 여러분이 의지할지도 모르지만, 사실은 상황들이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옳거나 그른 것을 좌우하는 것이다.

 

   

주제문장

So, while there is a common foundation to human morality, what constitutes the full extent of ethical behavior is not set in stone.

그러므로 인간의 도덕성에 대한 공통된 토대가 있지만, 무엇이 윤리적 행위의 전체 범위를 구성하는지는 정해진 것이 아니다.

 

 

 

 

179번문항

   

 

폭풍요약

사람은 살면서 놀라지 않는다. 머릿속에 있는 세상에 대한 이론이 적어도 우리주변의 세상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의 이론이 부적합하다고 느낄 때에만, 우리가 그런 이론에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 그 이론은 우리가 경험할 만한 모든 것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다.

 

처음문장

When was the last time you were bewildered? The very fact that bewilderment is such a rare condition for most of us, despite the complexity of our lives, is a clear indication that the theory of the world in our heads is at least as complex as the world we perceive around us.

마지막으로 어리둥절한 것이 언제였는가? 어리둥절함이 우리의 삶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부분에게 그렇게 드문 경우라는 바로 그 사실은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세상에 대한 이론이 적어도 우리가 우리 주변에서 인식하는 세상만큼 복잡하다는 자명한 표시이다.

 

주제문장 

Our theory of the world seems ready to make sense of almost everything we are likely to experience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이론은 우리가 구어와 문어로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거의 모든 것을 언제든지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 같다.

 

 

 

 

 

013번문항

 

 

폭풍요약

의무론자들은 절대적 도덕을 요구하지만, 도덕적 의무라는 것은 보편적구속이 아니라, 처해진 관계에서 일어나고, 행해야 하는 조건부 의무이다. 유태인 난민들을 숨긴 어부들이 나치에게 무조건 정직하게 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다.

 

처음문장

Deontologists have been criticized for holding that moral rules are absolute and cannot conflict.

의무론자들은 도덕률은 절대적이고 충돌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한 데 대해서 비판을 받아 왔다.

 

주제문장 

To account for this kind of difficulty, W. D. Ross argued that moral duties are not universal constraints. Rather, they are conditional obligations to act that arise out of situated relations.

이런 종류의 어려움을 설명하기 위해서, W. D. Ross는 도덕적 의무란 보편적 구속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보다는, 그것들은 처해진 관계에서 일어나는, 행해야 하는 조건부 의무이다.

<!--[endif]-->

 

 

 

148번문항

 

 

폭풍요약

성격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한 그룹의 대학생들이 대학생으로의 자신의 성격을 파악했다.(A성격), 25년이 지나서 성격을 다시 평가했다.(B성격) 그리고 25년이 지난 시점에서 바라본 대학생때의 자신의 성격을 파악했다.(C성격), A성격과 B성격은 비슷하지만, C성격은 A와도 B와도 같지 않았다. 성격은 일관성이 있다.

 

처음문장

Do personalities change significantly over the life span? If you think so, it may be a result of your tendency to overestimate changes in personality.

성격은 평생에 걸쳐 눈에 띄게 변하는가? 여러분이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성격에 있어서의 변화를 과대평가하는 여러분의 성향에 따른 결과일 것이다.

 

주제문장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there is an underlying consistency to personality, which people often underestimate.

이러한 결과는 성격에 대한 근본적인 일관성이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해 주는데, 사람들이 이를 흔히 과소평가한다.

 

012번문항

 

 

폭풍요약

은유는 우리에게 알려진 것을 통해 미지의 것을 탐구하는 하나의 장치이다. 경험의 표면층을 통해 심층적인 의미까지 보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시간은 금이다). 알려지지 않은 것을 친숙한 물체들과 비유함으로 이해력을 도와주지만 경험하지 못한 물체라면, 제한적일 수도 있다.

 

 

처음문장 

A metaphor has a way of helping us see through the surface to the deep-level meanings of both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s.

은유는 우리로 하여금 경험과 의사소통 모두의 표면층을 통해 심층적인 의미까지를 보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주제문장

It provides us with a perspective for comprehending something unknown by comparing it to familiar objects and experiences. That is key; metaphor based on experiences we haven't had will have limited value, if any.

그것은 그것(알려지지 않은 것)을 친숙한 물체들과 경험들에 비유함으로써 알려지지 않은 것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관점을 우리에게 제공해 준다. 그것이 핵심이 된다. , 우리가 겪지 않은 경험에 근거한 은유는 가치가 있다 해도 제한적인 가치를 지닐 것이다.

 

 

087번문항

 

진보에 대한 정의는 시간을 인식하는 방식과 관련 있다. 처음에는 자연주기를 따라서, 과거와의 연결이라는 연속성의 느낌이지만, 오늘날에 시간은 일직선으로 무한대로 뻗어있는 것이다. 그래서 시간에 대한 직선적 관념 때문에 과거는 열등한 것, 새로운 것은 이전 것보다 나은 것으로 여겨진다.

 

처음문장

Modern definitions of "progress" are intrinsically related to the way in which we perceive time.

진보에 대한 현대적인 정의들은 본질적으로 우리가 시간을 인식하는 방식과 관련 있다

 

     

 

     

     주제문장

        Thus the past is rejected as inferior - new ideas and inventions are seen as progressive, as being better than their predecessors, simply because they are new. Any technological "advance" is evaluated and privileged as progressive, withou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technology introduces into the equation.

       따라서 과거는 열등하다고 거부되고 새로운 생각들과 발명품들은 단지 그것들이 새롭다는 이유로, 진보적인 것으로 그 이전의 것들보다 더 나은 것으로 여겨진다. 어떤 기술적인 진전도 이 기술이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가져오는 환경 파괴는 고려되지 않은 채, 진보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특혜를 받는다.



더 중요한 지문은 , 블로그에 놀러오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