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세계사 한 문제 209일차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38744904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사회탐구 선택자 218,154명 중 19,055명이니, 사회탐구를 선택한 학생 중 8.7%만이 세계사 과목을 응시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세계사 과목은 선택자 수가 상당히 적은, 일명 '마이너 과목'입니다.
마이너한 과목이라 그런지 세계사 과목과 관련된 컨텐츠는 풍부하지 않다 못해 거의 바닥을 보이는 수준이며, 이는 제가 수험 생활을 하며 뼈저리게 느낀 부분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매일, 제가 직접 만든 세계사 문제를 한 문제씩 제공하여, 세계사 과목을 선택하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209번째 날입니다.
오늘은 한 게 없네요.
아니다. 모의고사만 줄창 만들었습니다.
책이라도 좀 읽을까 했는데 실패했어요.
209번째 문제는 서양사 문제입니다.
오랜만에 좀 전형적인 연표 문제네요. 어렵진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아닌가
(나) 자료는 수특 문제 제시문 연계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까 문제 9
복수 정답이네요 다시 올립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봤어요. 원래 포스트 아포칼립스? 잘 안 좋아하는데 재밌게 잘 봤습니다. 20번째...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4번째 한국사 문제 16
요새는 해뜨는 거 보고 자는 게 일상이 돼 버렸네요. 선지 처리가 까다로운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
3번째 한국사 문제 16
한국사 오랜만이네요 조선후기 문제입니다. 솔직히 이거 풀 수 있으면 한국사 공부 안...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오늘 동아시아사 문제 23
많이들 임진왜란이랑 헷갈려 하시는데, 삼포왜란 사료입니다. 결정적인 단서는 '항거...
-
요새 침착맨 유튜브 간간이 보고 있습니다. 침펄토론 재미써요. 19번째 동아시아사...
-
오늘 문제는 카이사르 암살 직후에 볼 수 있는 모습에 대해 묻는 문제였습니다. 대개...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생활과 윤리] 생윤러들 주목! ‘노직과 중립적인 개념’ 3
글을 읽기 전에, 먼저 다음 두 진술에 대한 정오 판단을 해 보세요. 1. 노직 :...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옵붕고 이명준 딱대라 ㅋㅋ 강령술로 무릎꿇게해주마 ㅋㅋㅋㅋ 30
『나의 강령술』 앞에 세상 모두가 무릎꿇을 것이다. 내가 세상을 바꾸고 모든 이를...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손풀이) 7월 경제 50점 손풀이+의식의 흐름 정리! 5
요번 건 갱장히 더러운,,, 수능 경제는 운빨일등급노베허수라서 많이멍ㅓㅊㅓㅇ하ㄴ...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9모 대비](6평반영) 9모 대비 동아시아사 모의고사 1회/ 2회(하프) 13
문의/ 오류 : https://blog.naver.com/fkszmr0000/222454290756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2학년도 수능 대비 EASY 세계사 모의고사 5회 문제지&정답지 8
EASY한 독도바다입니다. 오늘 오후 8시에 오르비Q를 통해 2022학년도 수능...
-
세계지리 자작문항 1개 14
지난번에 냈던 것들보다는 조금 더 쉽군요 ㅎㅎ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러 분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교과 과정 내에서 술탄 칭호를 사용하였다고 다뤄지는 국가는 셀주크 튀르크, 오스만...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이번에는 2단원입니다 선지를 잘 해결하는 게 관건이겠네요
-
오늘은 영화 볼 거에요 히히 17번째 문제는 5단원에서 냈습니다. 수특...
-
2022년 수능 대비 동아시아사 핵심 주제 다지선다 정리 10
2022 수능을 대비하기 위한 마지막 교안이 아닐까 합니다. 그간 기본 개념, 수능...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빠짐없는 정치와법 기출 풀이 1주차 통합본 PDF 및 빠른 정답을 제공합니다....
-
EASY한 독도바다입니다. 209일차 문제는 보름스 협약-인노켄티우스 3세 사이...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개인적인 컨디션 난조로 지금 올립니다..! 잘 풀어보세요:)
-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상위권 수험생들의 학습 방향 설계 6
안녕하세요, 수능 생활과 윤리 컨텐츠를 만들고 있는 유삼환입니다. 오늘은, 지난...
-
이 문제는 그래프부터 지도까지 일일이 다 그렸네요...;;; 1시간 넘게 걸렸어요...
-
지리 문제...?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
2022 수능 완성 동아시아사 중요 개념 선별 Blank 정리 3
2022년 수능 완성의 중요 개념을 선별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는 지문이나 문항을...
-
오늘은 법이념 문제와 국제 관계의 역사적 변화를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문항을...
4번
저도 4번 고르긴 했는데 살짝 이번엔 후달렸네요..;
하인리히 나와서 카노사의 굴욕 107x... 이렇게 생각하다가 뭔가 느낌이 이상해서 읽어보니 보름스협약 1122이라 살짝 흔들렸고
(나)는 교황의 권위가 절정에 달했따...(13세기) 라는 문장만 기억하고
(나)가 뭔지 정확히는 몰라서 최대한 12세기에 가까운거 골랐습니다.
1이랑 4는 일단 그래서 빼버리고
대공위 시대는 137x...년 이렇게 외우기도 했고
애초에 필리프형 삼부회 최초 소집이 1302년이라
14세기 이후..로 뒀고
오스만 제국은 1299로 2 소거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셀주크 튀르크 멸망인데
이건 언제 망했는지 년도를 외운 기억이 없지만
첫번째로 라틴제국(1204년) 생길때 셀주크 언급이 없었다는 점 ,
두번째로 아무리 그때 삶을 연명하고 계셨어도 위치상 분명히 몽골 제국한테 (13세기 전~후반)에 멸망은 했을 것이라고 판단해
4번 골랐습니다.
몬가 아는 것들인데 낯설게 느껴져서 당황했네요 ㅋㅋㅋ
교황은 해 황제는 달은 인노켄티우스 3세의 발언입니다.
제가 (나) 자료 3세는 12세기 말~13세기 초(1198~1216)에 재위하였고요.
셀주크 튀르크는 대략 12세기 말에 멸망하였다는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정확한 연도는 1194년인데, 절묘하게 인노켄티우스 3세의 재위 기간을 지나가죠.
대공위 시대는 13세기입니다. 1254~1273
14세기에 관련된 내용은 황금 문서(금인 칙서)이죠. 1356년에 작성되었습니다.
ㅇㅎ 제가 묘하게 햇갈렸는게 대공위시대가 러시아쪽만 생각나서
거기는 진짜 1700년대라서 아마 대공위가 교황 두개를 난립하던걸 말하는거였을꺼다
라고 생각을 했는데 신성제국 대공위였군요..
교황과 관련된 내용은 교회의 대분열(1378~1417)이고요.
러시아와 관련해서는 교과 과정에서 깊게 들어가지 않으니...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는데 독도바다님 N제는 매일 세계사 하나 + 플러스 알파 문제들로 구성된건가요?
아니면 매일 세계사 하나는 빼고...?
매일 세계사 + 2021 5회 + 2022 5회 + 알파
교집합이 생기는 부분도 꽤 있죠.
어.....123은 해결해쓴ㄴ데 4번5번 개헷갈려서 당황....5번?
Aㅏ 4번?
아 오스만이 1299건국.....
4
본격 용기파훼법 저격문제인가요 ㅋㅋㅋㅋ
카예보해 인데 보해를 내버리는...
크윽... 진화해라 용기약자..
ㅇㄱㄹㅇㅋㅋㅋㅋㅌㅋㅋㅋ 개당황
보름스..ㅇㅋ 카예보해 라틴마대
...? 해...? 가나와버리네..?
아니 셀주크 멸망..? 오스만 건국..?언젠데 그게....셀주크는 대충 몽골 쳐들어올때 망햄ㅅ을건데 오스만이 그거보다 일찍 건국햇지 않을까? 싶어서 5 고르고 전사
항상 양질의 문제 감사드립니다. 뭐 대단한 것은 아니고 이견의 말씀을 드립니다. 셀주크 튀르크 제국의 멸망 시기는 대튀르크 제국은 1194년, 방계 튀르크 제국은 1242년으로 기술하는데 현 교과 과정에서는 비상 교과서가 13세기 중반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준점인 (가)와 (나의 시기가 1122년과 1198 ~ 1216년이니 셀주크 튀크의 멸망은 정답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지요. 세계사를 학습하는 분들에게 혼선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하여 조심스럽게 의견을 전합니다.
우려했던 부분 정확히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 과감히 선지를 구성했는데, 아무래도 문제가 될 수도 있겠네요…
어려운 문제이나 재밌네요ㅎㅎ
가는 보름스협약인데 얼핏보면 카노사 굴욕으로 읽히게끔 만드셨군요. 카노사굴욕이 나올려면 그레고리우스7세 교황이 나와야하니
나는 13세기 무렵으로 접근.
그래서 정답4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