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 쪽지

2024-06-25 08:30:44
조회수 73

빛의 이중성 이용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68535898

입자성.


광다이오드 (p-n)

빛신호 ->> 전기신호,광센서, 태양전지


접합면에 생긴 전기장. 

빛 =>전자,양공 유발 ->-가n 형으로 이동


전자의 이동은 양공에서->n형 반도체

전류의 방향은 n형->p형


이 부분 약간 이해가 안됨. 


양공이 있는 p에서가 

자유전자가 있는 n에서 보다 더 쉽게 광전효과가 발생하고 그로인해 남은 전자는 미끄러운 n형 반도체위에서 미끄러진다 생각하자. 


ccd(전하결합소자) 디지털 카메라에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인식하는 센서,


ccd보니까 n형 반도체에 자유전자를 광전효과로 날려버리는 것 같음. 그렇게 양공에서 n형 반도체로 전자가 이동 띠간격이 좁아져서 전류가 형성 되는걸지도? 그런데 그냥 그러려니 하면 되는 내용 인 것 같기도 하고 애매한데

그냥 전자양공쌍이 형성된다는 것 만 알고 전류의 방향만 파악하면 되는 파트인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