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돛대샘] 2018 여태껏 우리가 몰랐던 비문학 이야기_3. 비트겐슈타인
게시글 주소: https://i9.orbi.kr/00010437787
여러분은 슈타인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먼저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을 떠올릴 수 있다. 미래에 위대한 과학자가 되길 원하는 학생만이 아인슈타인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내 자식이 똑똑한 아이로 자라길 바라는 모든 이들의 선망의 대상이기도 하다. 우유로도 먹이고 이름까지 한돌이라고 짓기도 한다. 다음으로 리히텐슈타인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필자가 어린 시절 친구들과 자주 하던 놀이가 있다. 끝말 잇기, 나라 이름 대기 등. 그때 외웠던 나라 이름이라 아직까지 기억 속에 남아 있는 듯하다. 세상에서 제일 작은 나라라고 알고 있는데 세월이 흐르는 동안 더 작은 나라가 생겼는지 모르겠다. 괴물의 대명사 프랑켄슈타인도 있다.
2012년 수능에서 새로운 슈타인 스타가 등장했다. 바로 비트겐슈타인이다. 그가 족적을 남긴 분야도 '논리 철학', '언어 철학'이라고 하니 꽤나 생소하고 난해한 인상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전통적으로 인문 제재 안에서 특히 철학은 학생들이 꺼리는 소재이다. 그나마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정도까지는 크게 동요하지 않고 인내할 수 있다. 들어본 적이 많기 때문이다. 음악을 많이 좋아하는 친구들은 뜻밖에 반가워할 수도 있다. 가수 신해철이 한때 결성했던 밴드 이름도 비트겐슈타인이었다. 하지만 그와의 만남은 아쉽게도 포퍼 못지 않은 강한 부담을 안겨준 철학자로 각인되고 있다. 다음에 다시 인문 지문에서 만나는 일이 없기를. 적어도 수능 국어의 역사에서 비트겐슈타인은 한 획을 그은 것이다.
<예>
‘그림 이론’에서 명제에 대응하는 ‘사태’는 ‘사실’이 아니라 사실이 될 수 있는 논리적 가능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어를 구성하는 명제들은 사실적 그림이 아니라 논리적 그림이다. 사태가 실제로 일어나서 사실이 되면 그것을 기술하는 명제는 참이 되지만, 사태가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 명제는 거짓이 된다. 어떤 명제가 ‘의미 있는 명제’가 되기 위해서는 그 명제가 실재하는 대상이나 사태에 대해 언급해야 하며, 그것에 대해서는 참, 거짓을 따질 수 있다. 만약 어떤 명제가 실재하지 않는 대상이나 사태가 아닌 것에 대해 언급하면 그것은 ‘의미 없는 명제’가 되며, 그것에 대해 참, 거짓을 따질 수 없다. 따라서 경험적 세계에 대해 언급하는 명제만이 의미 있는 것이 된다. |
선명하게 문맥을 이해하는 데 상당히 어려움을 주는 지문 스타일이다. 일단 '사태'라는 말이 뭔지 당 황스럽다. '사태'에 대한 이해도 긴가민가한 상황에서 '사실'과 '사태'가 뚜렷이 구분되지 않은 상태로 반복해서 등장하고 있다. '사태'는 '사실의 가능태'로 보인다. 사실이 될 수도 있고 사실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의미 있는 명제'와 '의미 없는 명제'를 이해해야 한다. 참, 거짓을 따질 수 있으면 '의미 있는 명제', 참, 거짓을 따질 수 없으면 '의미 없는 명제'가 된다. 참, 거짓을 따질 수 없는 것은 경험적 세계에 속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말이지만, <예>에서 필자가 가장 주목하는 것은 '그림 이론'이다. 아니, 더 엄밀히 말하면 '그림'이다. 지금 다시 학창 시절로 돌아가 공부한다면 어떤 과목을 가장 잘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 수도 있겠지만, 아무리 다시 하더라도 미술엔 자신이 없다. 그래서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이 무척 부럽다. 어떻게 눈으로 본 것을 입체적으로 그릴 수 있는지 여전히 신기할 따름이다. 현실에서 실현되지 못한 일이 꿈 속에라도 이루어진다면 꽤나 신이 날 텐데… 종종 학교에 준비물을 빠뜨리고 가 난처해 하는 꿈이나 꾸곤 했다. 그게 하필이면 미술 시간에 필요한 도구인 경우가 많았다. 미술 시간에 크게 꾸중을 들은 기억이 있는 것도 아닌데 참 알 수 없는 심적 작용이다.
그림을 좋아하진 않지만 필자는 계속 그림을 그리려 한다. 비트겐슈타인의 '그림 이론'은 그런 점에서 누군가에게 훌륭한 영감(靈感)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감이란 문득 떠오른 기발한 생각을 의미한다. 어떤 현상이나 세계, 아니 때론 자신의 내면마저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데 그림만한 도구가 없기 때문이다. 세계를 그림으로 설명하려 했다는 점, 언어를 세계에 대한 그림으로 봤다는 점, 그것만 가지고도 그는 소수의 혁신자로 불릴 만하다. 또다른 유혹도 있다. 비문학 지문을 하나 설명하고 나면 필자는 칠판에 그림을 그린다. 그것을 바라본 학생들의 눈빛이 번쩍인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비트겐슈타인의 명언을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그려보겠다."로 곱씹어 본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존나 어그로 다끌리네 좆같네 걍 씨벌 다시 공부하러 간다 나중에 보자
-
오르비 보다가 자괴감 들어서 쓴소리 듣고 싶어서 올립니다.. 국어: 유대종T-...
-
학생들한테 해주고 싶은 학벌과 성공에 대한 이야기. 4
수능이 2개월 안 남은 현 시점에서 내 학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 혹은 자주...
-
그냥 제 생각인데 아빠와 아들은 나름 비슷한 삶을 사는 것같아요. 자랑하는게 아니라...
-
전교1등하고 그런 애였는데 특목고 간 거 까지는 좋았는데 얼마 전에 페북 보니까...
-
사실 한 국가의 4성장군이면 장차관급 예우이고 군이라는 집단 특성상 사람이 정말...
-
답답해서 0
너무 답답한데 말할 곳이 없어서 처음으로 글을 남겨 보네요. 전 재수를 해서 대학에...
-
[고민상담] 여러분 제상황이면 어떻게 할것 같으세요? 16
생윤사문 6평12111 9평11123 수능33142 나왔습니다ㅜㅜ 제 인생 최대의...
-
부모님은 다른건 못해도 공부만 잘하면 된다고 했는데 2
정작 공부 잘하는 애들은 다른것도 잘함 ㅋㅋ 페북에서 특이한 이력을 가진 변호사를...
-
고연 고연 고연 고연 고연 대학에 가기위해서 가장 중요한 순간인 고등학교시절.....
-
대학 vs 학과 5
문과라면....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그외 인문계열)vs 연세대 경영 흥미나...
-
1. 강의 듣다가 갑자기 "교수님, 잠시만요!" 라며 고백한다. 2. 고민이 있다며...
-
수시+정시러 좀 도와주실 천사같은 오르비언 찾습니다! 13
다시 1년 죽어라 해보기로 결심이 섰습니다. 고딩 때 받아둔 내신이 아까워서...
-
내가 살아가는 이 세상은 어디서부터 뭐가 잘못된걸까?나는 고등학교 시절 치열하게...
-
애니메이션 추천 받소 174
ㄱㄱㄱ
-
아 ㅅㅂ... 11
인기글에 동물농장 내용보고 아는여자애가 동물농장 들어가서 자기농장 보여주길래아 그래...
-
재수하면서 느끼는점 52
재수한지 40~50일 쯤 된 재수생입니다.! 한달간 독재학원을 다녔고, 관리는 무슨...
-
다군 중대 0
다군 중대 경영경제 967.44인데 합격권인가요?가군 성사과(658.8) 적정이라고...
-
궁금해서그러는데 0
진짜 사는데 대학이 지장없음? 어른들 말씀이 대학이 중요한게 아니다 아니다 하지만...
-
의.치.한의대 가려하면 이제 입학해서 현재 의사들과 같은 보수.보상을 바라지마라.....
-
3년전 2013년도 수능을 치루고 나서 필통에 있던 펜들과 연필들을 쓰레기통으로...
-
하 롤 하실분 1
씻고 피시방가서 롤이나 하려는데 ㅠ
-
92년생인데 15학번으로 의예과에 재학중인데 나이도 꽤나 차고 미필이라 졸업하고...
-
서울대대나무숲 인기글3 12
가장 유명했던 글인것같네요. 수능10일 힘내요 우리
-
서울대대나무숲 인기글2 22
서울대 대나무숲에서 가져온 인기글이에요.보신분들도 계시겠지만 너무 좋아서 올려봐요....
-
서울대대나무숲 인기글 14
미치게 살아봐요. 뭔가에 홀린 것처럼. 새벽이 넘어가도록 도서관에서 공부하다 저...
-
돌겟네요 불경기다 불경기다하는데 졸업할때쯤은 얼마나 더 불경기일지
-
1. 친구들은 여행 가는데...나는...? 2. 다들 벌써부터 중국어 학원,...
-
남들다쉽다는 이해원포카칩모의고사 2014 2015 전 왤케어려울까요 턱턱막히네요숨이...
-
보장되고 안전하지만 재미없는 길 vs 한치앞을모르지만 그래서 살맛나는 길 24
선택의 기로에 서있는 시점이네요 질문 다시 할게요.정리가 되엇어요. 타인의 시선대로...
-
forgot 0
how to live
-
재학/반수/재수 세개중에 선택하려고 하는데 어떤게 옳은 선택일까요? 5
저는 2012년에 고3현역으로 수능을 봤는데 (이번수능) 점수가 평소보던거보다...
-
1. Do something you believe in and love to do....
-
소집해제는 그보다 세배는 넘게남았네 ㅋ....
-
이게 뭐하는짓인지 모르겠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